총 31조원 규모의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이 좌초위기에 몰리게 된 것은 대주주인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 사이에 개발방식에 대한 이견에서 비롯됐다. 롯데관광개발이 서부이촌동을 포함한 ‘통합개발’을 주장한 반면, 코레일은 ‘단계개발론’을 들고 나왔다. 둘 사이 경영권 다툼으로 인해 자금줄이 막히면서 내달 파산까지 예고돼 있다. 이들간 다툼의 원인인 통합개발 개념을 불러온‘서부이촌동’을 사업지에 끌어들인 장본인이 바로 ‘서울시’다.
실제 용산역세권개발은 코레일 부채(5조원)를 갚기 위한 철도부지창 복합개발 사업이었다. 하지만 오세훈 시장이 한강 르네상스사업의 일환으로 통합개발안을 들고 나와 지금의 개발안에 이른 것. 하지만 박원순 시장이 등장하면서 ‘주민 재동의 절차’라는 딴지로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 등 대주주간 경영권 쟁탈전의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사업 파국이 초읽기에 들어갔지만 역시 원인제공자인 서울시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사업이 내달 공중분해하게 생겼는데도 서울시는‘일언 반구’도 없다. 오히려 서부이촌동 주민 반대를 내세우는 등 꽉 막힌 출구전략으로 인허가 자체를 해줄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사업이 파국으로 치닫든 말든 뒷짐만 지고 있을 태세다. 게다가 SH공사를 통해 500억원의 자본금까지 투자한 출자사인데도 여전히 태연하다.
서부이촌동 주민 의견도, 인허가 절차도 좋다. 하지만 서울시가 나서야 이 사업 자금문제부터 인허가 절차까지 모두 해결된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특히 용산역세권개발 사업이 파국으로 끝나면 드림허브 출자사는 물론 그간 재산권 행사를 못한 서부이촌동 주민부터 피해를 본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 용산이 서울시 관할이라서, 서울시가 이 사업에 투자해서만이 아니라 주민들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기 위해서라도 서울시가 중재에 나서는 등 ‘결자해지’해야 한다는 의미다. 내달 17일까지 1050억원을 마련하지 못하면 ‘부도’다. 그나마 이제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