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단일화 방식놓고 ‘신경전’

입력 2012-11-07 22: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文 측 ‘국민경선’ 등 TV토론 요구 vs 安 측 ‘부정적’

민주통합당 문재인·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단일화 원칙 합의 이후 ‘경선룰’을 둘러싸고 주도권 다툼을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문 후보 측 김부겸 선대위원장은 7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단일화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하는 단일화 △국민과 통합하는 단일화 등의 3가지 원칙을 내놨다. ‘국민참여 보장’을 내세워 사실상의 경선을 요구하는 단일화 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국민 참여를 보장하는 단일화여야 한다. 안 후보도 지속적으로 국민이 이해하고 동의하는 단일화를 이야기했다”며 “어느 날 ‘묻지마 식’으로 하는 것은 안 된다. 공개토론 등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후보 선택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안 후보 측이 유리한 것으로 알려진 여론조사 방식으로 단일화를 하더라도 ‘공개 토론’ 등을 포함하는 방식이 선결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TV토론 뒤 배심원단 여론조사’ 등을 포함한 일종의 국민경선 방식을 타진하겠다는 포석인 셈이다.

앞서 문 후보 측 안경환 새정치위원장도 이날 오전 라디오방송에서 단일화 방식과 관련 “(여론조사로) 기운다고 생각은 안 한다. 여러 가지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법으로 논의할 것이다. TV토론도 방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반면 안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국민경선은 시간이 많이 걸린다”며 문 후보 측이 선호하고 있는 방식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한편 양 측은 전날 단일화 사전 과제로 합의한 ‘새정치공동선언’ 실무팀을 구성하며 단일화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 민주당 측에선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와 김현미·윤호중 의원이, 안 후보 측에서는 김성식 공동선대본부장과 심지연·김민전 교수 등 각각 3인이 인선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