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리포트]기업들 '줄줄이' 사옥 매각…공실률 높이나

입력 2012-11-01 12: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금 마련 위한 단기적 조치…대부분 수년 내 되사는 조건

최근 국내 기업들의 사옥 매각이 이어지고 있다. 경기 악화로 인해 경영상 문제가 생겨 건물을 팔아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는 업체의 유동성 확보를 위한 긴축경영의 일환으로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도 연이어 자사 건물을 매각하고 있다. 다만 사옥매각이 회사의 축소통합을 위한 대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한 부동산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올 하반기 들어 기업들의 사옥매각이 눈에 띄는데 이는 현금 마련을 위한 단기 조치”라며 “대외 경제 상황이 불안해 자금의 유동성 확보가 중요해서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들도 이 방법을 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옥매각에 나선 기업들은 현대그룹과 KT, 동양증권, 일부 건설사, 저축은행 등이다. 현대그룹은 지난 8월 서울 연지동 사옥을 코람코자산운용에 2262억원에 매각했다. 동양증권도 서울 을지로 본사 사옥과 주변 토지를 하나다올랜드칩에 매각키로 했다. 매각대금은 1400억원이다. KT와 SKT 등 통신사들도 매각 행렬에 합류했다.

최근 기업들의 사옥 매각이 공실률을 높일 것이라는 걱정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각 기업이 매각을 실시한다고 해도 공실률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오피스의 3분기 평균 공실률은 전분기보다 1%포인트 오른 6.4%를 기록했다. 이는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의 준공에 따른 오피스의 대량 공급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사옥 매각을 추진할 때 앞으로 몇 년 안에 다시 되사는 조건이 포함된 계약을 체결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해당 건물을 활용해 단기 유동화를 꾀할 때 주로 쓰이는 계약조건이다. 특히 이런 경우는 오피스 공실률 지표에 포함시키지 않아 도심 공실률 증가와는 상관이 없다.

반면 기존 오피스의 면적을 축소해 일부만 사용하고 나머지 공간을 비워두는 것이 공실률을 높이는 것이라고 관계자는 강조했다. 매각 후 건물이 비게 되더라도 계약이 이미 된 상태여서 공실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불경기의 영향으로 면적을 줄여야하는 회사의 건물은 수요자를 찾지 못하면 공실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관계자는 “실제 공실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으로 여의도를 꼽을 수 있다”며 “이곳에 있는 중소기업이 몸집을 줄이면서 기존에 사용해왔던 같은 층 옆 사무실을 비워두는 사례를 흔히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