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 대출 문제가 심해질 수 있으며 특히 경제성장 없는 가계부채 해결은 불가능하다는 글로벌 투자은행(IB)의 주장이 제기됐다.
1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는 최근 펴낸 ‘한국의 대출 질 저하(Korea: Weakening loan quality)’보고서에서 한국의 대출의 질이 나빠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BoA메릴린치 크리스티 탠 연구원은 이 보고서에서 “최근 한국의 가계부문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그는 전체 은행 대출연체율은 2010년 이래 1.5%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가계부문 대출 연체율은 2010년 이후 상승해 최근에는 2009년 초반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음을 근거로 제시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지난 8월 1.01%로 2006년 10월(1.07%) 이후 6년 만에 1%를 넘어섰고 또한 한국은행의‘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를 보면, 4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가 38포인트로 금융위기 때보다 커지고 있다.
때문에 탠 연구원은 경기 부진에 따른 가계 대출문제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경제성장 없이는 가계신용 위험에 대한 우려는 쉽게 없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탠 연구원의 분석에 따르면 부실대출금과 부실지급보증금을 합한 은행의 무수익여신 연체율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마이너스 상관관계에 있다. 이는 결국 경제성장률이 높아지면 연체율이 낮아진다는 의미다.
하지만 IB들은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단기간 내에 가시적인 회복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2% 성장하는데 그치면서 2분기(전분기 대비 0.3% 성장)보다 성장세가 둔화했다.
IB들은 3분기 GDP 성장률이 전분기보다 둔화한 것은, 세계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기업의 설비투자와 재고 축소 등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근거로 IB들은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경기 부진이 지속할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내렸다. 실제로 바클레이즈 캐피털이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2.7%에서 2.2%로 0.5% 포인트나 내렸고 다이와(2.6%→2.2%), 시티그룹(2.6%→2.3%), JP모건(2.4%→2.3%) 등도 일제히 하향 조정했다.
노무라는 올해(2.3%)와 내년(2.5%) GDP 성장률이 잠재성장률(3.5%)을 밑돌고 2014년에야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4분기에도 세계 경기 부진으로 수출과 민간소비 부진이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모건스탠리의 경우 12월 대선을 앞두고 복지 예산 등을 늘리는 등 경기 부양에 힘입어 3분기보다는 성장률이 나아질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크레디 스위스도 4분기 자동차,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생산증가와 세계 경기선행지수 개선 등으로 앞으로 성장률이 좋아질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