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임유진 정치경제부 기자 "31세 국회의원의 막말 퍼레이드"

입력 2012-10-31 15: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선거에서 뭘 잘해서 점수를 쌓는 것 못지않게 말실수를 하지 않아 점수를 깎아먹지 않는 게 중요하게 됐다. 말로 먹고사는 정치인의 말 한마디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인데, 대선 레이스에서 사소한 ‘말실수’로 지지율에 타격을 받는 상황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청년 비례대표로 금배지를 단 민주통합당 김광진 의원이 ‘명박 급사(急死·이명박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죽음)’ 등 도가 지나친 막말이 정치권 전체를 오염시키고 있다. 김 의원은 지난 19일 국방위 국정감사에서도 6·25전쟁 영웅인 백선엽 장군을 ‘민족의 반역자’라고 칭해 문제가 됐고, 그동안 트위터에서 내뱉은 욕설, 돈, 여자, 성추행으로 해석될 수 있는 상식 이하의 막말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사태가 커지자 김 의원은 “트위터라는 공간의 풍자와 해학성 그 자체에 대한 언론의 자유까지가 모두 없어져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는 궁색한 변명을 했다. 막말과 욕설을 ‘언론의 자유’와 연관시기는 자체도 우습지만, 자신을 언론과 정치공세에 맞서는 투사 쯤으로 생각하는 태도 또한 볼성사납다.

김 의원이 내뱉은 수준 이하의 막말도 문제지만 이를 수습하는 당의 태도 또한 상식 이하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김 의원 이런 표현에 대해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원내대표로서 국민 앞에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올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같은날 박용진 대변인은 “기죽지 마라. 친일파에게 친일파라고 했을 뿐”이라고 김 의원을 두둔하고 나서 사과의 진정성을 의심케 했다.

김 의원 역시 문재인 대선 후보 캠프 내의 모든 직책을 사퇴한다고 했지만 진정성이 결여된 사과가 과연 국민의 마음을 되돌릴 수 있을 지 의문이다. 김 의원이 계속해서 치기어린 말과 행동을 보여줌으로써 유권자들이 청년 정치지망생 전부에게 누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이 걱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