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 받은 암환자, 신체 기능 등 삶의 질 높아

입력 2012-10-22 14: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림암센터 연구 결과, 암환자 통합지지체계 구축 필요

사회적 지지가 암환자의 정신 건강·신체 기능·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암정책지원과 박종혁 과장과 서울대 조비룡 교수(책임저자), 한림대 엄춘식 교수(1저자)의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를 잘 받지 못하는 암환자들은 사회적 지지를 잘 받는 암환자들에 비해서 33% 정도 우울지수가 더 높았으며 전반적 삶의 질 지표가 낮았고 피로, 통증, 수면장애, 변비, 설사 등의 증상 또한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란 신체적·정서적인 문제, 적응상의 문제, 사회적 분리 등으로 야기된 문제 해결을 위해 가족, 친구, 이웃 등의 지원과 전문기관 등의 지원 및 정보 활용 등을 말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립암센터와 9개 지역암센터의 18세 이상 암환자 2000명 정도를 대상으로 시행한 전국 규모의 결과로 국제학술지인 정신종양학회지(Psycho-onc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

암 환자들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친구들이나 친척들의 관심과 지지, 의료비 관련 문제 논의, 직장과 가정생활에 대한 지원, 치료 이후 인생 상담 등 8개 문항을 설문한 결과 사회적 지지가 암환자의 정신건강과 신체기능 및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배우자가 없는 경우, 낮은 수입, 직업이 없는 경우, 대도시 거주자, 대장·직장암환자, 화학요법과 방사선 병용치료 환자 등은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사무직 근로자는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수준이 높으면서 수입이 많은 군과 사무직 근로자가 상당부분 겹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종혁 과장은 “이번 연구는 국가단위 대표성을 갖춘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암환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암환자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제시한 첫 연구”라며“사회적 지지가 낮은 암환자의 정신건강과 기능장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환자 통합지지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