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박엘리 사회부 기자 "2년전 오송으로 간 식약청은 '홀대'"

입력 2012-10-19 11: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0년 말 식품의약품안전청, 보건산업진흥원, 질병관리본부 등 6개 기관 2384명이 오송으로 이전했다.

2년이 지난 지금 이주하지 않고 출퇴근 하는 직원 대 정착 직원 비율은 6대 4에서 4대 6으로 정착률이 많이 높아졌지만 직원들의 불만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이주 당시 정착하면서 마련한 전셋집은 2년 계약이 만료돼 재계약을 해야 한다. 하지만 전세 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기존 평수보다 줄여서 가거나 아예 다른 지역으로 눈을 돌려야만 하는 상황이다.

A 주무관은 “30평대의 아파트가 2억5000만원 정도”라면서 “정착한 사람은 미혼 이거나 가족이 서울에 있고 본인만 내려와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택 단지 내에 있는 원룸촌 역시 전세 값이 서울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정부가 세종시로 이전하는 공무원들에게 월 20만원의 수당을 1년간 지급키로 한 것에 대해서도 불만이 이어졌다. 수당을 받지 않는 식약청과 질병관리본부 오송 근무 직원 수는 약 2200명 가량. 이들에게 수당을 주기 위해서는 연간 52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전 수당의 존재 자체를 몰랐던 오송 근무 공무원들 사이에서 불멘소리가 터져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 40만원에 달하는 출퇴근 비용 등 경제적 부담은 늘고 주거 혜택은 전혀 나아진 게 없다는 얘기다.

오송으로 이전하고 난 후 국제회의나 각종 대회 들을 많이 유치했고 업무 공간이 넓어져 한층 쾌적해 진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식약청 공무원들의 주거문제 등 기반 조성이 되지 않는다면 업무 효율이 올라갈 리 만무하다.

올해 식약청 국감은 타이레놀, 게보린 등 해열진통제 부작용 문제, 청렴도 제고 문제, 어린이 기호식품 관리 단속 문제, 건강기능식품 허위 광고 문제 등이 집중 포화대상이었다. 모두 지난해 국정감사 때 지적됐던 사안들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