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2/10/600/20121013101633_228774_400_536.jpg)
김 총재는 13일 일본 도쿄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총회 직후 열린 ‘아시아ㆍ중남미 고위급 경제정책 포럼’을 통해 “신흥시장국이 내수에 기반을 둔 성장을 통해 세계 경제의 성장 견인차 역할을 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김 총재는 현재 신흥시장국의 성장세가 경기침체에 빠진 선진국과 동조화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우려하고 “신흥시장국의 확장적 정책만으로는 세계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김 총재는 FTA로 국내수요 확대를 도모해 내수 중심의 성장이 필요하다고 상조했다.
상품과 서비스의 수입가격이 내려가 소비를 촉진하고, 경쟁이 제한됐던 분야의 규제를 완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추진 중인 한ㆍ중ㆍ일 FTA가 체결되면 한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이 될 전망”이라며 대외무역과 국내수요를 동시에 촉진해 대외 불균형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한국과 같은 신흥시장국이 내수 중심의 경제로 변화하려면 경상수지 흑자 축소, 외화보유액 감소 등 위험 요인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이 위험을 완화하려면 “국내 금융부문의 취약성을 없애고 기축통화를 공급하는 선진국이 세계 금융안전망 확충에 중요한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