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스마트미터 통신기술, 국제표준 채택

입력 2012-09-27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쟁국 치열한 경쟁 속 채택 쾌거… 우리 기술 중 최초 스마트미터 기술 채택 의미

한국형 스마트미터 통신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한국형 고속전력선통신(PLC)을 이용한 스마트미터 통신기술이 국제전기기술위원(IEC)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고 27일 밝혔다.

스마트미터는 자동으로 에너지를 계량 및 관리하는 기기를 말하며 전력선통신은 전력선을 이용해 통신을 하는 기술로 케이블이나 무선주파수를 확보해 통신하는 것에 비해 구축비용이 덜 드는 통신시스템이다.

기표원은 이번 국제표준 채택이 우리나라 기술이 고속 전력선통신 기술중에서 처음으로 스마트미터 통신기술로 채택된 것에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기표원에 따르면 최근 2~3년 동안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고속전력선통신기술의 표준화가 완료돼 해당 기술의 선택을 두고 전기차충전시스템 등 스마트그리드 주요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국제표준 채택엔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산·학·연·관의 국제네트워크를 이용한 표준외교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가를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첨단계량인프라(AMI)는 오는 2020년까지 국내에서 5조4000억원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개발이 진행중인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보급추진중인 우리나라의 원격검침 솔루션의 수출경쟁력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 IEC 국제표준 채택을 계기로 향후 수도가스통합검침, 전기차충전계량 등의 스마트미터 표준화에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