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이후 이산가족 사망자가 연간 약 3800명에 달하며 사망률과 상봉률 격차로 인해 가족과 친지를 만나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도 연간 2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이용화 선임연구원과 홍순직 수석연구위원은 23일 '이산가족 상봉, 더 이상 늦출 수 없다'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하고 이산가족 상봉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원 등에 따르면 통일부에 등록된 이산가족 신청자는 총 12만8747명으로 올해 8월 말 현재 전체의 이산가족의 59.0%인 7만6003명이 생존한 상태다.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사망률은 평균 2.9%로 사망자수가 연간 약 3800명에 이르며 현재까지의 누적 사망자 비율은 41.0%에 달한다.
반면 이산가족 상봉률은 평균 1.4%로 상봉자는 연간 약 1800명에 불과하며 현재까지 누적 상봉자 비율은 19.6%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8년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정체된 반면, 사망자 누적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이 연구위원팀 "2008년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정체된 반면 사망자 누적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2004년 이후 현재까지 이산가족 사망자 수는 연간 약 3800명으로 생존자 7만 6003명은 약 20년이 지나면 모두 사망하게 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의 모든 생존자들이 향후 생애 한번이라도 이산가족과 상봉하기 위해서는 매년 상봉 규모를 70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하며 70세 이상 고령자의 경우에는 10년간 매년 6400명 이상 상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50∼60대 이산가족의 경우 생존자 비율이 20.7%이고 평균 기대 여명이 24.0년인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생전에 모두 상봉하기 위해서는 매년 655명씩 상봉이 이루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