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저소득층 외면한 새희망홀씨대출…대출비중 ‘절반 이상’ 급감

입력 2012-09-23 13: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희망홀씨대출이 새희망홀씨대출로 바뀌면서 저신용·저소득층에 대한 대출 비중이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취약계층의 범위를 확대했지만 은행들은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계층에 대출을 집중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박대동(새누리당) 의원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새희망홀씨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희망홀씨 판매기간인 지난 2009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20개월 동안 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이고 연 소득이 2000만원 이하인 저신용·저소득층의 대출액은 1조 1412억원으로 전체 대출액(2조6713억원)의 43%로 조사됐다.

그러나 새희망홀씨대출로 전환된 2010년 11월부터 2012년 6월까지의 20개월간의 저신용·저소득층이 빌려가 돈은 희망홀씨 때보다 7077억원 줄어든 4335억원으로 집계되며 전체 대출액(2조5165억원)의 17%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동안 전체 대출실적은 비슷한 반면 그 중에서 저신용·저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 크게 감소한 것이다.

희망홀씨대출 대상은 신용등급 7등급 이하 또는 연소득 2000만원 이하이고 새희망홀씨는 연소득 3000만원 이하 또는 신용등급이 5등급 이하이면서 연소득이 4000만원 이하인 고객이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저신용층 대출 비중이 100%에서 각각 33%와 39%로 3분의 1로 줄었으며 신한은행도 83%에서 36%로 절반 이상 감소하는 등 16개 은행 중 13개 은행이 저신용층 대출 비중을 축소했다.

연간 소득액별로 보면 2000만원 이하 저소득층 대출액은 전체의 80%(2조 1247억원)에서 48%(1조 2181억원)로 줄었고 신용등급별로는 저신용층 비중이 55%(1조 4719억원)에서 36%(9089억원)로 감소했다.

박 의원은 “은행 경영여건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위험도가 높은 계층에 대한 대출이 줄어든 것으로 본다”며 “은행들이 역마진을 감수한 상품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새희망홀씨가 정작 저신용·저소득층을 외면한 점은 아쉽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