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일본 제품 통관 강화…경제보복 현실화

입력 2012-09-21 06: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 일부 지역의 세관 당국이 일본 제품에 대한 통관검사를 강화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무역진흥공사의 조사 결과, 중국의 주요 세관 11개 가운데 상하이와 베이징 등 5개 지역에서 통관이 지연됐다.

상하이의 경우 일부 품목은 일본에서 들여오는 모든 제품이 검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이나 톈진에서도 화물 검사율이 높아졌고, 광둥성 광저우시에서는 일부 통관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톈진시 세관 당국은 복수의 일본 기업에 대해 전자제품 등에 쓰이는 원자재 수입과 관련 검사 비율을 강화하겠다고 통보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자스코와 파나소닉 등 일본 기업들의 피해가 컸던 산둥성 칭다오에서도 통관에 필요한 서류 확인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일본무역진흥공사의 조사에서 밝혀졌다.

지난 11일 일본 정부의 센카쿠 국유화 이후 일본 제품에 대한 중국의 통관 강화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일본 산업계는 중국 세관 당국의 이런 조치를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지난 2010년 9월 센카쿠에서 중국 어선과 일본 순시선이 충돌한 ‘센카쿠 사태’ 당시에도 가장 먼저 일본 상품에 대한 통관 강화로 보복한 바 있다.

일본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의도적 통관 지연은 기업 입장에서 엄청난 타격이다. 부가가치가 높은 전자부품과 화학품 등의 각종 원자재를 일본에서 수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통관이 지체되면 제품 완성이 늦어져 납기에도 영향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