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일 영유권 분쟁, 미국에도 불똥

입력 2012-09-12 07: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동중국해의 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열도)를 둘러싼 중국 일본간 영유권 분쟁의 불똥이 미국으로까지 튀고 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이 11일(현지시간) 브리핑하는 자리에서 ‘센카쿠 분쟁’에 대한 질문이 쏟아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일본이 전날 ‘센카쿠’를 국유화하기로 결정하자 중국이 ‘댜오위다오’를 영해의 기점으로 삼겠다고 선포하는 등 양국 갈등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는데 대한 미국 정부의 입장을 물은 것이다.

눌런드 대변인은 “어제 언급한 것에서 더는 새로운 것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전날 브리핑에서 “힐러리 클린턴 장관이 중국 당국과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와 만났을 때 분명히 말했다”면서 “우리의 메시지는 양측이 이 문제를 조용히, 대화를 통해 처리하길 바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사태가 계속 악화되는데 계속 대화를 통해 해결하라고 하니 그게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의가 이어지자 눌런드 대변인은 “그게 우리가 바라는 바”라며 “그 이상은 얘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현재 중국과 일본 간 ‘댜오위다오 분쟁’은 물론 한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지는 ‘독도 영유권’ 문제 등 동아시아 3국의 외교갈등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리언 패네타 미국 국방장관은 조만간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중국은 지난달 미국을 방문한 차이잉팅(蔡英挺) 중국 인민해방군 제1부총참모장을 통해 분명한 메시지를 전한 바 있다.

그는 워싱턴 주재 중국 특파원들과 인터뷰에서 “미국 측에 댜오위다오와 그 부속도서들은 중국 영토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고 말했다.

1960년 체결된 ‘미국과 일본의 상호 협력과 안전보장조약(신안보조약)’은 5조에서 “미국·일본 양국은 일본의 행정력 아래 있는 영토에서 미국 또는 일본에 대한 무력 공격이 있을 경우 자국의 헌법 규정 및 절차에 따라 공동의 위험에 대처하도록 행동한다”고 돼 있다.

미국은 현재 이 사안을 언급하면서 철저하게 ‘센카쿠’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신안보조약까지 맺은 일본과 유대성을 은연 중에 시사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과 일본 간 영유권 분쟁이 자칫 무력충돌로 이어질 경우 미국도 중국과 갈등을 벌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