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 ?’ 선거구도 안갯속 … 10년 전 대선도 똑같아
야권에서는 아직 후보가 확정되지 않았고 장외 유력 대선 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교수의 출마여부도 확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안 교수와의 야권단일화를 염두에 두고 있는 민주통합당으로서는 자당 후보를 낼 수 있을 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여권에서는 일찌감치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선출됐지만 그 과정에서 ‘후보 추대’니 ‘사당화’니 하는 비민주적인 용어들이 쏟아졌다.
민주당은 당내 후보 선출을 위한 종반전에 서 있다.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등 4명의 예비 후보 중 경선에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16일, 그렇지 않으면 23일에 결선투표를 치러 최종 후보를 낸다.
안 교수와의 단일화까지 염두에 둔다면 야권의 대선후보 선출은 더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안 교수가 독자출마할 것이라는 전망도 없지는 않다. 이 경우 대선판은 새누리당 박 후보, 민주당 후보, 안 교수의 3자 구도로 전개된다.
때문에 박 후보와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모든 ‘경우의 수’를 상정해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더 급한 쪽은 민주당이다. 자당 대선후보와 안 교수와의 단일화 또는 연대 여부가 최대 변수로 작용하면서 소속의원들이 안 교수 쪽으로 대거 이탈할 수도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대선 100여일을 앞두고 누가 나서는지조차 불분명한 상황이 지속되면서 후보들의 정책이 실종됐다는 지적이다. 대신 ‘협박’이나 ‘구태정치’가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정치판의 네거티브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지난 6일 안 교수 측은 박 후보 캠프 측으로부터 뇌물과 여자 문제로 협박을 당하고 불출마를 종용 당했다고 폭로했고 박 후보 측은 “친구사이의 대화였다”고 주장, 진실공방 확전돼 유권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 일도 있다.
대선 후보가 확정되지 않은 안개 형국이 지속되다보니 정책공약이 실종되고, 유권자들의 혼란과 불안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대다수 대선 후보들이 집권 플랜은 뒷전인 채 TV 예능 프로그램 출연 경쟁에 열을 올리며 ‘이미지 전쟁’에 몰두하는 것도 이번 대선 판의 특이한 모습 중 하나다
이런 탓에 11월 23일 후보 등록일전 까지 여야 대진표가 확정되지 않을 공산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100일 전 대진표가 없는 상황은 지난 2002년, 2007년 대선에도 그랬다. 10여년이 지난 한국의 정치판이 여전히 그대로임을 보여주는 씁쓸한 단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