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는 5일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방식에 대해 “당을 생각했으면 대의원과 당원의 비율을 고려해 줬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찬 겸 기자간담회에서 ‘모바일 투표에 문제가 많아 다음에는 수정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지금 방식이면 당비를 낼 이유가 없지 않느냐. 좀 더 배려했어야 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나는 모바일투표 결과를 지역별로 발표하는 것도 반대했지만 일부 주자들이 요구했다”며 “지방 연설회 이전에 모바일 투표를 하는 것도 결선투표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경선갈등이 지도부 책임론으로 비화된 데 대해선 “어딘가 화풀이는 해야 할 것 아니냐. 다만 화풀이 방식이 나이스하지(좋지) 못한 것”이라며 “나도 대표 선거때 1, 2순위표에 같은 가치를 준 것이 불합리하다고 생각했지만 (문제제기를 하면) 속좁은 사람이 되니 그냥 갔다”고 했다.
이 대표는 제주·울산 모바일 투표에서 일부 유권자에게 당규에 규정된 5회 통화시도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문제 제기에 대해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전화를 받을 때까지 5차례 가도록 돼 있다”며 “가긴 갔는데 수신을 안 했거나 수신을 거부한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