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700억원 지원 확정…나머지 1300억원은 불투명, 현재 자본금 1400억원에 불과
![](https://img.etoday.co.kr/pto_db/2012/09/600/20120905124423_221421_426_640.jpg)
5일 건설 부동산과 금융권에 따르면 쌍용건설에 대해 2000억원 규모 유동성 지원을 위한 캠코와 채권금융기관간 최종 합의가 아직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대주주인 캠코는 700억원 규모의 유동성 지원방안을 내부적으로 확정했지만 나머지 1300억원을 책임져야하는 채권단은 내부사정과 은행간 견해차를 보여 여전히 버티고 있다는 얘기다.
따라서 업계는 오는 6일 만기도래하는 520억원 규모의 B2B전자채권(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은 연체 가능성이 적지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설사 은행간 유동성 지원에 합의를 도출한다고 하더라도 자금지원까지는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자체 현금 보유여력을 거의 상실한 쌍용건설은 결제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자본금에 대한 확충도 쌍용건설이 넘아야 할 산이다. 쌍용건설은 현재 자본금이 1400억원대에 불과하다. 건설업계 특성상 수조원대에 이르는 타 건설사에 비하면 턱없이 모자라는 수준이다. 유동성 위기 극복은 물론, 자생력을 키우고 해외수주 등 또한번 도약하려면 쌍용건설의 증자는 필수라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증자를 책임져야할 대주주 캠코도 자본금 확충의 큰 틀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여전히 ‘매각을 통한 증자’라는 원칙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어 진정성을 의심받고 있다. 올해만 4차례 매각을 추진했지만 주인이 나서지 않은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인수합병(M&A) 업계 관계자는 “매각과 증자 사이에서 캠코는 지속적으로 매각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라며 “쌍용건설 주가가 2008년 대비 6분의 1토막 났을 정도로 건설업계 업황이 좋지 않다. 매각만 고집할 게 아니라 회사를 정상화 한 후 가치를 높여 매각하는 수순을 밟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