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하락세 멈추지 않는다

입력 2012-08-21 09:31수정 2012-08-21 11: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도권 금융위기 전보다 10%↓…거래량 두달연속 감소

부동산 시장이 뇌사상태에 빠졌다. 지난 8일 정부가 다주택자 및 1년 미만 단타거래에 대한 양도세 부담 완화를 발표한데 이어 마지막 보루로 남겨둔 DTI(총부채상환비율)규제 완화까지 정부지원책으로 쏟아냈지만 시장은 요지부동이다. 지난 5월 강남 투기지역 해제 등 대부분 휘발성이 강한 강남 대책을 쏟아냈지만 오히려 수도권 집값이 추풍낙엽이다.

전문가들은 시장 침체의 골이 워낙 깊은데다 유럽 금융위기 까지 겹쳐 단순한 규제 완화로는 효과를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양도세 폐지나 보금자리주택 폐지 등 충격요법에 가까운 특단의 조치가 나오지 않는 한 내년까지도 집값 하락세가 멈추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먼저 미분양 가구 적체가 여전한 수도권 집값 하락세가 무섭다. 21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6월의 86~95% 수준에 그쳤다. 금융위기 직전과 비교한 서울의 7월 아파트값 수준은 부동산114 지수로 92.5%, 국민은행 지수로 95.3%, 국토부 실거래가지수로 91%에 각각 머물렀다.

대부분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보다도 약 10% 가까이 가격이 하락한 셈이다. 수도권 지역 새 아파트 분양가격도 예외가 아니다. 같은 기간 지방 아파트 분양 가격은 수도권 지역 분양가격도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수도권의 급락으로 전국 평균 아파트 분양가도 금융위기 직전의 71.3%를 기록했다. 집값이 하락하면서 전국 주택 거래량도 급감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월별 주택 매매 거래량은 5월 이후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5월 6만8047건에서 6월에는 5만6922건, 7월에는 5만6799건을 기록했다. 7월 거래량은 5월에 비해 16.6%가량 줄었다.

박상언 유엔알 컨설팅 대표는 “신도시에 미분양 적체가 여전한 가운데 보금자리주택을 또 공급하면서 시장이 살아나거나 주택가격이 오른다는 기대를 한다는 자체가 오류”라면서 “보금자리주택 폐지 등 충격요법으로 기존 미분양을 해소하기 전까지 집값하락은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