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천으로 빗물 유도 등 내년에나 시행 가능
지난 15일 폭우로 인해 서울 강남역 주변이 침수되자 서울시가 ‘부랴부랴’ 이 일대 빗물을 하천으로 유도하는 등의 침수해소사업안을 내놨다.
지난해 7월 한차례 물난리를 겪었지만 1년 동안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다 최근 폭우로 다시 피해를 입자 이 같은 사업안을 발표한 것이다.
하지만 이 대안도 내년부터 시행을 검토 중에 있어 올 초가을까지 잦을 것으로 예보된 국지성 호우가 앞으로 찾아올 경우 또 다시 속수무책으로 수해를 입을 수밖에 없는 지경이다.
서울시는 이날 오전 긴급회의를 열고 강남역 주변 고지대의 빗물이 반포천으로 바로 이어지도록 하수관거를 신설하고 나머지는 한강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는 공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계획은 당초 계획이었던 대심도 터널과 달리 자연유하방식에 따른 것으로 교대역~고속터미널 구간에 지름 7m, 길이 900m의 관거를 매설하는 것과 함께 서초빗물펌프장을 증설하고 용허리공원에 1만5000톤의 저류조를 만드는 방안도 포함한다.
강남역 일대는 인근 논현동이나 역삼동보다 고도가 17m 이상 낮은 상습침수 지역으로 2001년, 2010년, 2011년에 이어 15일에도 인근 도로의 빗물이 무릎까지 차오를 정도로 잠겨 차량과 보행자 통행에 불편을 겪었다.
시는 올해 우기 전 이 일대에 빗물받이 22개를 새로 만들고 병목구간 하수관거도 262m를 확장해 지난해 7.27 폭우 때와 같은 대규모 주택가 침수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쏟아지는 물폭탄에 이 일대 도로 침수까지는 막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원순 시장을 비롯한 시장단이 참석해 강남역 주변의 피해상황 외에도 신월동, 길동 등 34개 침수 위험지역의 종합관리계획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태규 수방정책보좌관은 “1317억원을 들여 빗물을 한강으로 직방류하는 대심도 터널을 건설하는 방안, 1700억원을 들여 주변 부지들을 사들인 후 반포천 복개구간 단면을 확장해 통수율을 높이는 방안 등도 고려됐다. 하지만 재정 여건상 607억원이 드는 관거 분산 방식으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분산형 빗물저류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은 필요한 저류용량이 약 30만톤 정도지만 인근 저류가능량이 9만4000톤에 불과해 근본적인 침수해소 대책은 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됐다”고 말했다.
시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침수해소에 힘을 쏟고 있지만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다는 입장을 전했다.
박 시장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서울이 시간당 30㎜의 비 정도에 견디도록 (침수방지 시설들이) 설계돼 50㎜ 이상으로 개선해야 한다.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한두해에 해결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시는 강남역 일대 하수관거 분산 공사도 2~3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완공 때까지는 빗물받이를 증설해 임시로 투수층을 늘릴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