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디아, 봄날은 가나

입력 2012-08-10 08: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中·印 산업생산 등 주요 지표 부진…유럽 재정위기·부동산 규제·인프라 부족 등 내외부 환경 불안

세계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친디아(중국·인도)가 흔들리고 있다.

주요 경제지표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데다 당국의 부양책 역시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9일(현지시간) 지난 7월 산업생산이 전년 동월 대비 9.2% 늘어나는데 그쳤다고 밝혔다.

이는 2009년 5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증가폭이다.

소매판매는 전년보다 13.1% 증가해 전문가 예상치 13.5%를 밑돌았다.

올들어 7월까지 농촌을 제외한 고정자산 투자는 20.4% 증가로 시장 전망인 20.6%를 밑돌았다.

루팅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이코노미스트는 “만일 산업생산 증가율이 이달과 다음달에도 9%대 초반에 머무른다면 이번 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7.4~7.5%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1.8%로 30개월래 최저치를 보여 인플레이션 부담은 덜었다는 평가다.

야오웨이 소시에테제네랄 이코노미스트는 “지금까지의 통화완화 정책이 아직까지 실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면서 “정부가 경기부양책 실행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중앙통계청이 집계한 지난 6월 산업생산은 전년보다 1.8% 감소해 전월의 2.5% 증가에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인도 산업생산은 지난 4개월에 걸쳐 세번이나 감소세를 보였다.

친디아 모두 경기부양에 주력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으나 상황은 녹록지 않다.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의 경기둔화 등 외부 불안요인은 여전한 상태다.

중국은 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지속하고 있고 인도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

중국 경제에서 부동산이 직간접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은 4분의 1에 달하기 때문에 부동산시장 회복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다.

연말 10년 만의 권력 교체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지도부가 특단의 조치를 취하기도 쉽지 않다는 평가다.

중국 증권보는 이날 정부가 빠르면 이달 안에 거래세 인상 등 새 부동산 규제정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는 최근 대규모 정전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인프라 부족이 경제회복 발목을 잡고 있다.

인프라 부족이 매년 경제성장률을 2%포인트 가량 낮추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인도는 물가상승률이 7%를 넘어 브릭스(BRICs, 중국·러시아·인도·브라질) 국가 중 가장 높기 때문에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정책을 펼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