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300만개 공약했지만 4년간 80만개 그쳐

지난 대선 때 300만개의 새 일자리를 약속했던 이명박 정부가 지난 4년간(2008~2011년) 80만개의 일자리를 늘리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29세의 청년층과 30~39세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연간 기준으로 단 한차례도 취업자수가 늘어난 해가 없어 20~30대의 일자리난이 더욱 가중되는 모습이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2008~2011년간 전체 취업자 수는 2008년 14만5000명, 2009년 -7만2000명, 2010년 32만3000명, 2011년 41만5000명으로 연평균 20만 여명이 증가했다. 연평균 60만개 5년간 300만개의 새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공약과는 크게 동떨어진 수치다.

전체 취업자수가 늘어나긴 했지만, 청년 취업자수는 매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같은 기간 15~29세의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08년 -11만8000명, 2009년 -12만7000명, 2010년 -4만3000명, 2011년 -3만5000명으로 단 한 번도 플러스 전환되지 못했다.

30대 역시 2008년 -2만6000명, 2009년 -17만300명, 2010년 -4000명, 지난해 -4만7000명으로 마찬가지였고, 2009년과 지난해에는 청년층 보다 취업자수가 줄어들었다.

이같은 현상은 정부 고용 정책이 가장 먼저 반영되는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실적을 보면 알 수 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 마지막 해인 2007년 공공기관의 신규채용이 1만5064명이었던 것에 비해 2008년 1만1241명, 2009년 9117명, 2010년 1만570명, 2011년 1만3986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해마다 10~30% 가량 더 적게 채용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