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對이란 제재 대비 수출 시장 다변화 지원 상담회 개최

입력 2012-07-03 16: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식경제부는 코트라와 공동으로 3일 이란 대체시장 설명회 및 상담회를 개최했다. 대(對)이란 수출 리스크 증가에 대비해 우리 기업의 리스크 대응 및 수출시장 다변화를 지원하기 위함이다.

양 기관은 특히 철강, 기계, 자동차 등 수출 주력품목의 바이어 발굴을 지원했다. 대체시장으로 이란 인근에 위치하고, 산업구조가 비슷한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말레이시아 등이 주목받았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대이란 수출 주력품목인 철강, 기계, 자동차, 전자, 플라스틱 등의 수요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UAE는 역내 시장의 지리적 접근성이 뛰어나고, 항만 및 금융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는 중동지역의 물류 허브이다. 지난해 수입규모는 1640억 달러로 매년 15%이상씩 증가하고 있으며, 무역개방지수(ETI) 및 물류성과지수(LPI)는 중동 역내 1위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란과 유사한 석유 관련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국으로, 건설 및 플랜트 기자재 대체 수출시장으로써 인근국가 중 최대 규모이다.

터키는 우리나라와 FTA를 계기로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IT), 건자재가 수출 유망품목으로 꼽히고 있다. 또 세계적 자동차 메이커 조립공장의 터키 진출 활성화로 자동차부품 수요도 증대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 국가 중에서 이슬람 문화권으로 중동시장 연계지로써 장점을 갖고 있다. 자동차부품, 산업기계, 철강, 플라스틱이 수출 유망품목이다.

지경부는 대체시장에 대한 실질적인 발굴로 연계시키고자, 유망 대체시장 비즈니스 상담회도 개최했다.

상담회에는 사우디의 전력 플랜트 기업인 SSME, 포드사의 터키 현지합작기업인 Frodotosan, 말레이시아 닛산의 부품 벤더인 Tanchong Motors 등 철강, 자동차부품, 기계, 플라스틱, 전자 분야의 글로벌급 바이어 21개사를 초청해 국내업체 50개사와 상담을 진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