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EU FTA 발효 1년 “농어업에 미친 영향 제한적”

입력 2012-07-01 19:58수정 2012-07-02 06: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7월 체결된 한·EU FTA가 농어업에 미친 영향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농림수산식품부가 1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한·EU FTA 발효 이후 올해 5월 31일까지 EU산 농수산식품 수입은 24% 증가하고, EU로의 국내 농수산식품 수출은 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수입 증가 이유는 냉동 삼겹살과 치즈 등의 품목과 FTA 관세 혜택이 큰 감자전분, 포도주, 포도주스와 투입 원료 품목(종자용 완두, 백합 구근 등) 등의 수입 증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농식품부는 EU산 농수산식품의 수입 증가에도 한·EU FTA가 우리 농어업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했다.

수입액은 증가했지만 수입 물량은 감소한 것을 볼 때 수입액 상승에는 주요 수입 품목(돼지고기 등)의 수입 단가 상승과 환율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또 한·EU FTA 민감 품목인 축산물의 경우 FTA 발효 이후에도 국내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도매가격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고, 주요 수입 증가 품목인 관세 혜택이 큰 품목(감자 전분, 포도주, 포도주스)과 투입재(종자용 완두, 백합 구근) 등은 이미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한편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1월부터 지난달 까지의 수출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해 농식품 수출액 증대에 한·EU FTA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