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소비스업계, 조속한 적합업종 선정 촉구

입력 2012-06-29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기업중앙회는 서비스업종의 41개 단체와 함께 동반성장위원회에 생활형 서비스분야 중소기업 적합업종의 조속한 지정을 공동 건의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적합업종 신청 업종은 도·소매업, 음식업, 개인서비스업 등 34개 업종이다. 공동 건의에 참여한 단체(조합)들은 “대기업이 영세 소상공인의 사업영역까지 잠식 함에 따라 소상공인은 생업 존폐와 생계유지 곤란의 위험에 빠져 있다”고 주장했다.

중기중앙회는 △대기업의 독과점 서비스업종 △제조 대기업의 판매ㆍ수리분야 잠식 △영세 소상공인업종 진출 확대 △핵심사업과 관련없는 분야 진입 △공생발전 위한 협력및 역할 분담 필요 등으로 신청사유를 구분했다.

앞서 중기중앙회 김기문 회장은 중소기업 리더스포럼(제주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서비스업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을 서둘러야 한다”며 동반성장위에 적극성을 주문했다.

그는 “동반성장위는 너무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며 “시간이 흐를수록 소상공인(중소기업)의 피해는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 임석한 대구경북학교급식업협동조합 임성욱 이사장은 “삼성, LG, CJ 등 대기업이 소규모 단체급식 시장까지 잠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상조업협동조합 송장우 이사장도 “현재 300개 상조회사가 있는데 100여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영세한 규모인데 농협을 비롯해 보험사까지 상조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라며 “중소업체의 줄도산이 우려된다”고 서비스분야의 적합업종 선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한편 동반성장위는 29일 서비스분야 중기적합업종 선정 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첫 실무 회의를 개최하고 다음 달에는 2차 공청회와 본회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