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가계대출 폭탄 막는다…은행권 프리워크아웃 추진

입력 2012-06-28 14: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잠재적 신용불량 30만여가구 부채구조 개선

부실 위험이 큰 `잠재적 신용불량자'의 부채구조를 개선하는 은행권 사전채무조정, 즉 프리워크아웃이 추진된다. 채무자의 상환 능력에 맞춰 대출 금리를 낮춰주고 원금은 오랜 기간에 걸쳐 나눠 갚게 하는 것이다. 1개월 미만 단기 연체가 반복되는 저신용자에게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과 은행권 공동 프리워크아웃 도입방안 등을 논의했다. 금감원은 국민은행이 운영하는 `신용대출 장기분할상환 전환' 프로그램을 모범 사례로 거론했다.

저신용 대출자를 대상으로 한 이 프로그램은 1만1000명의 빚 1100억원을 10년 이상 장기 분할상환으로 전환했는데, 연체율이 3~5%에 그쳤다.

프리워크아웃에는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담보가치가 추락한 주택담보대출자와 다중채무자 가운데 연체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부실 위험군이 포함될 전망이다.

은행들이 자체 프리워크아웃을 운영하면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1~3개월 연체자)과 개인워크아웃(3개월 이상 연체자)에 앞서 가계의 파산을 막는 완충장치가 추가된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은행권이 자율적으로 1개월 미만 연체자에 대한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권 원장은 이날 여의도 63빌딩 주니퍼홀에서 열린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하며 "개인이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워크아웃을 하기 전에 은행권이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연체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프리워크아웃을 신중하게 추진할 계획임을 밝혔다. 고승범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프리워크아웃을 위한 신복위 외) 별도의 기구 설치는 가계부채 동향을 보고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고 국장은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잠재적 부실 위험군의 채무를 미리 조정하면 충당금 적립 부담이 줄어드는 등 은행 건전성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