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강생산 40년만에 918배 증가

입력 2012-06-08 17: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40년간 국내 누계 조강생산은 918배 증가한 11억3836만톤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철강협회(회장 정준양)가 8일 발표한 ‘조강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누계 조강생산량은 1973년 124만톤에서 2012년 4월 현재 11억3836만톤을 기록해 40년동안 918배 늘어난 11억3836만톤을 생산했다고 밝혔다.

11억3836만톤의 조강은 중형승용차 8억3703만대를 생산하고, 컨테이너 선박(8000TEU 기준)을 6만8700척을 만드는데 사용할수 있는 양이다.

국내 누계조강생산은 포항제철소 1기에서 첫 출선한 1973년 124만톤의 조강을 생산했고 2011년 11억톤을 기록했다. 이는 매년 평균 1억톤이 늘어나는데 평균 3.6년 걸렸고 최근 들어서는 2년에 1억톤씩 늘어나는 추세다.

같은 기간 누계 수출물량도 올해 4월까지 4억톤을 돌파했다.

우리나라 철강수출은 73년 91만 7천톤을 수출한 이래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1993년 1억톤, 2001년 2억톤, 2007년 3억톤을 돌파했고 올해 4월까지 4억톤을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수입 물량은 4월까지 총 3억6031만톤으로 수입보다 수출이 4647만톤 정도 많았다.

철강협회 오일환 부회장은 “철강업계는 국내 부존 자원부족으로 철광석, 철스크랩 등의 원자재를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수출을 늘려 왔다”라며 “자동차, 조선산업 등에 철강재를 공급하여 간접으로 수출하는 양까지 포함하면 철강산업의 수출량은 휠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철강협회는 이날 오후 5시 포스코센터 서관 18층 스틸클럽에서 윤상직 지식경제부 1차관, 정준양 철강협회 회장, 박승하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 이종근 동부제철 부회장, 이운형 세아제강 회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등 철강업계 및 수요업체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3회 철의 날 기념식을 가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