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경기부양 강공책에 올인

주요 10국 올해 기준금리 인하…中 4년만에 금리 내려·버냉키 “유럽 위기 심각”

전세계에 경기부양 바람이 불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8일(현지시간)부터 기준금리인 1년 만기 예금금리와 1년 만기 대출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인하한다고 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은 지난 2008년 말 이후 거의 4년 만에 처음이다.

앞서 호주중앙은행(RBA)도 지난 5일 기준금리를 3.5%로 종전보다 0.25%포인트 인하했다.

중국과 호주를 포함해 올 들어 전 세계에서 주요 10국이 기준금리를 내리는 등 경기부양 속도를 높이고 있다.

각국이 부양책을 서두르는 이유는 경기 둔화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는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다.

중국의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은 8.1%로 3년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2분기에는 성장률이 7.0~7.5%로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는 지난 분기 성장률이 5.3%로 9년래 최저치를 나타냈다.

호주는 최대 무역파트너인 중국의 경기둔화에 비상이 걸렸고 미국도 고용시장 회복이 정체됐다.

세계 경제위기의 시발점인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국)은 그리스의 탈퇴 불안과 스페인 구제금융 가능성이 커지면서 소용돌이치고 있다.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이날 미 의회 합동경제위원회 청문회에서 “유럽 상황이 미국 경제와 금융에 심각한 리스크를 주고 있다”며 “면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지난 6일 정례 통화정책회의를 마치고 “ECB는 모든 방면에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면서 “유로존 경제전망이 악화할 경우 행동을 취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글로벌 정책 공조는 회의적이라는 평가다.

버냉키 의장은 이날 3차 양적완화를 언급하지 않는 등 신중한 입장을 보였고 독일 정부는 여전히 강력한 긴축정책을 선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