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오염하천 개선사업에 4600여억원 투입

입력 2012-05-24 18: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국 11곳 선정 내년부터 본격 추진

▲경기도 안성의 죽산천은 인접한 축산농가로 인해 하천의 오염정도가 육안으로 식별될 정도로 수질환경이 취약하다. (사진제공 환경부)

정부가 오염하천 개선을 위해 4600여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환경부는 오염하천 개선을 위해 특화된 지원시스템에 따라 1단계로 11개의 오염하천을 선정해 내년부터 본격적인 오염하천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오염하천 개선지원 시스템은 그동안 여러 수질개선사업들이 분산·추진됨에 따라 개선효과를 얻는 데 장기간이 소요됐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환경부는 오염하천 11곳을 선정해 2013년 하수도, 생태하천복원, 비점오염저감 등 수질 및 수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수단을 단기간에 집중하는 ‘패키지형’ 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오염하천은 안성시 죽산천, 남양주시 홍릉천, 경남 함안군 호곡·야촌천, 부산광역시 북구 대리천, 경북 성주군 백천, 충남 연기군 조천, 아산시 매곡천 등 11곳이다.

환경부는 462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2013년부터 집중 지원해 빠르면 2014년 늦어도 2017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홍릉천, 대리천 등 도시지역은 하수관거 정비, 초기 오염빗물 처리, 생태하천복원 사업을 중심으로 개선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죽산천, 백천 등 농촌지역은 가축분뇨처리시설, 축산지역 생태습지, 마을하수도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또 수질개선사업 외에 공장, 축산농가 등 오염원에 대한 지도·점검 강화,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하천 감시·정화활동 등도 병행된다.

개선사업이 완료되면 대부분의 오염하천이 수질 2등급 이하인 ‘좋은 물(BOD 3㎎/L이하)’ 수준으로 개선되고 생태계적으로도 건강하게 될 것으로 환경부는 전망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질·수생태계 복원에 필요한 수단을 단기간에 집중하는 ‘패키지형’ 지원체계가 마련되고 4600여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는 만큼 향후 3~5년 이내에 사업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