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17일 경제민주화 추진 방향에 대해 “재벌의 부당·내부 거래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고 징벌적 제도나 집단소송제를 도입해 감히 그런 일을 하지 못하도록 강력한 조치를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친박근혜계 경제통인 이 최고위원은 KBS라디오에 출연해 “재벌의 경제력 집중을 완화하는 부분이 경제민주화의 한 축”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재벌이 초국적인 자금이나 인재풀, 유통망, 네크워크 등 엄청난 힘을 동네 피자집과 빵집, 커피숍을 몰아내는 데 쓰지말라는 것도 경제민주화의 한 축”이라면서 “주로 골목상권 지키기라고 표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우여 대표가 비박(非朴) 대선주자들의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요구에 검토의사를 밝힌 데 대해선 “도입을 전제로 하거나 바꾸는 것을 전제로 하는 건 아닌 것으로 결론 났다”고 전했다.
이어 “완전국민경선제든 어떤 제도든 그 제도가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예기치 않은 여러 파장을 갖고 오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어 내부적인 검토를 간단히 해보자는 결론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흥행만 생각한다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도) 일리가 있을 수 있지만 지금 중요한 건 흥행보다는 정말 대한민국을 안정되게 맡아 믿을 수 있는 후보를 선출하는 일”이라며 도입 반대 의사를 거듭 피력했다.
비박 대선주자인 이재오 의원의 개헌 주장엔 “정권 말기에 이런 얘기를 꺼냈던 정치인들이 힘 있는 정권 초기엔 이런 말씀을 꺼내지 않는 사례가 많았다”면서 “개헌은 힘 있는 정권이 초기에 해야지 가능성이 있어 진정성을 담보 받을 수 있다”고 에둘러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