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직 “해양플랜트 육성 일자리 10만개 창출”

입력 2012-05-09 13: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윤상직 지식경제부 차관은 9일 “해양플랜트 산업 육성을 통해 10만명 정도의 신규 일자리 창출과 중소 조선업체 사업의 다각화 측면에 도움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지경부는 이날 ‘제121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해양플랜트산업 발전방안’에 대해 보고를 통해 해양플랜트 수주액을 2020년까지 800억달러로 늘리고 엔지니어링, 기자재 등 국내 수행비율도 60%로 높인다고 밝혔다.

윤 차관은 기본설계에 활용할 광구가 없다는 우려와 관련해 “석유공사가 해상광구를 많이 확보하고 있고 또 계속 확보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며 “확보할 광구에 우리가 이 기술들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서 엔지니어링 능력을 향상시키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중·소 조선소의 어려움을 100%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아니지만, 우리가 앞으로 해쳐갈 수 있는 시장이 있다는 것”이라며 지원선을 지목했다.

윤 차관은 “지원선이 보통 5000t 쯤 되는 선박들이고, 우리가 이 부분은 기본적으로 선박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능을 더 부과시키면 지원선으로 쓸 수 있다”며 “엔지니어링 업체와 같이 컨소시엄을 이루고 지원선을 개발해 수출을 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미 한 모델을 선정해 컨소시엄으로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 차관은 800억달러 수주 목표와 관련해 “정부가 전망한 시장전망과 기업체들의 조선 3사, 또 소위 보면 4사까지 같이 논의를 해서 어느 정도 수주가 가능하겠느냐 업계의 컨센서스를 가진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포스코가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냐는 질문에 “포스코도 제철 쪽, 철강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특수강 쪽으로 가는 측면에서 해양플랜트 관련된 소재들을 개발하게 되고, 그 시장이 유망하다고 보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윤 차관은 일자리 10만개 전망에 대해 “엔지니어들이 몇 천명씩 고용돼 일하고 있는데 해상플랜트는 표준화 됐기보다는 특수한 환경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며 “작업들이 손이 많이 가는 작업인데 기자재도 마찬가지로 조선업보다 훨씬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10만명은 충분히 고용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