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국회의원 보좌진 그들은 누구인가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국회의원 보좌진 출신이란 점이다. 그랬다. 의원 보좌진은 과거 정치인이 될 수 있는 지름길 중 하나였다. 도제처럼, 스승 곁에서 정치인으로서의 자질과 역할 등 정치수업을 받은 뒤 독립적인 정치인으로 거듭나는 수단이라는 시각이 많았다. 실제로 의정현장에서 전문성을 쌓으며 활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비 정치인으로서의 강점이 많은 자리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의원을 통해 자신이 구상한 정책을 입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원 보좌진은 매력적인 직업이다. 4년뿐이긴 하지만 높은 연봉이 보장된다는 점도 ‘생계형’ 보좌진에겐 낙이다.
◇정계 진출의 문 = 김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초대 외무장관을 지낸 장택상 국회부의장 비서관을 지냈다. 박 전 의장은 이기택 신민당 부총재의 비서관이었다가 이 부총재가 11대 총선에 나갈 수 없게 되자 대신 출마해 승승장구한 경우다. 내리 6선에 국회의장 자리까지 올랐다.
유 공동대표는 이해찬 전 총리의 보좌관으로 정치와 연을 맺었다. 차 의원은 김문수 경기지사를 보좌하다 김 지사가 경기지사 출마를 위해 내려놓은 지역구를 승계해 18대에서 당선된 케이스다.
거물 정치인의 보좌진들은 다수가 정계 진출에 성공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보좌진 출신으론 새누리당 김무성 정병국 이성헌 의원, 김덕룡 박종웅 전 의원 등이 금배지를 달았다. 여기에 민주통합당 설훈 김옥두 최재승 정동채 윤철상 배기운 조재환 전 의원, 자민련 배기선 전 의원, 무소속 한화갑 전 의원 등은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비서 출신이다.
지난 노무현정권 때는 탄핵 역풍 속에 치러진 17대 국회에서 친노무현계 보좌진들이 다수 정계 입문했다. 노 전 대통령의 비서 출신으로 ‘좌희정 우광재’로 불렸던 안희정 충남지사, 이광재 전 강원지사가 대표적이다. 이명박정권에선 ‘왕 차관’으로 불렸던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다. 2006년 대선 때 이 대통령의 외곽캠프인 ‘안국포럼’을 꾸린 개국공신이기도 하다.
상향식 공천 등으로 문턱이 다소 높아지긴 했지만 보좌진들은 의원을 보좌하면서 쌓은 경험과 인적네트워크 등을 무기로 여전히 정계 입문을 시도하고 있다.
이번 19대 총선에선 40여명에 이르는 보좌진 출신 인사들이 여야에 공천장을 냈다. 다만 실제로 공천을 받고 당선까지 이른 이는 많지 않다. 새누리당에서는 이진복 의원(박관용 전 의장), 조원진 의원(황병태 전 의원), 조해진 의원(이원창 전 의원) 등이 재선에 성공했다. 이헌승 당선자는 김무성 의원의 보좌관 출신으로 2007년 대선경선에선 박근혜 후보 수행부단장을 지내기도 했다.
민주당에선 권노갑 전 의원과 동고동락했던 이윤석 의원이 재선에 올랐다. 유은혜 당선자는 고(故) 김근태 전 의원의 보좌관 출신이다.
한편 국회의원들은 자신의 보좌진 출신을 지역의회 의원으로 밀어주기도 한다. 정치 경험을 쌓도록 도와주는 동시에 자신의 지역구 관리도 맡기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금배지’로의 직행이 여의치 않은 보좌관들은 우선 구의회, 시의회 등에 입성, 국회로 가는 징검다리로 삼는 경우도 있다.
◇정책 현실화 ‘보람’… 때론 ‘호가호위’도 누려 = 국회의원 보좌진의 공식적인 주 업무는 의원들의 의정활동 지원이다. 법률 제안·의결, 국정감사 및 조사 업무, 정보 청구 등 의정활동의 대부분을 돕는다. 이 때문에 의원들은 점차 전문성을 갖춘 인사를 보좌관으로 영입하는 추세다.
예로,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민주노총 대변인을 지낸 노동운동가 출신 손낙구씨를 지난해 정책보좌관으로 전격 발탁했다. 국회 기획재정위로 상임위를 결정하면서 손씨로부터 입법활동을 지원받기 위해서다. 손씨로선 손 전 대표를 보좌하며 자신이 그간 화두로 삼았던 부동산 문제 등 경제정책의 대안을 현실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금배지를 달진 않았지만 자신이 구상한 정책을 입법화할 수 있어 보람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손씨와 같이 전문성이 있는 보좌진은 의원을 국감 스타 반열에 올리는 데도 큰 공을 세우고 있다는 평가다. 18대에선 새누리당 정해걸 의원이 보좌관의 노력으로 밝혀낸 쌀직불금 수령의 문제점을 국감장에서 최초로 제기, 스포트라이트를 받기도 했다. 이에 보좌진들은 의원을 국감에서 ‘띄우기’ 위해 피감기관에 수도 없는 자료를 요청하고 두꺼운 서류 사이에서 밤새 씨름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19대 국회 당선자들이 다른 의원 방의 보좌진에게 스카웃 제의를 하는 등 전문성과 충성심이 높은 ‘일급 스태프’를 데려오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것도 이 때문이다.
모시는 ‘영감’이 권력을 얻으면서 뜻밖에 목에 힘이 들어가게 되는 보좌진도 적잖다. 특히 영감이 당 대표직에라도 오르게 되면 그 보좌진들은 수행비서까지도 의원들로부터 깍뜻한 대우를 받는다. ‘의원께 잘 말해달라’는 로비성 인사를 듣게 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 때문에 때론 의원을 앞세운 호가호위형 보좌진도 눈에 띈다.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이상득 의원을 보좌했던 박배수씨는 이 의원의 보좌관으로 근무하면서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지난해 말 검찰에 구속기소됐다. 박씨는 로비 명목으로 이국철 SLS 그룹 회장으로부터 6억원, 유동천 제일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1억5000만원을 받고, 울산에 위치한 코스닥 상장업체의 은행 대출 청탁 대가로 수억원을 챙겼다는 혐의다. 일부 보좌진이긴 하지만 의원의 위세를 이용해 각종 이권에 개입하고 탈법을 저지르는 경우도 있다는 걸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비정규직이지만 ‘고소득’ = 보좌진들은 별정직 공무원이다. 의원실마다 4급 보좌관 2명, 5급 비서관 2명, 6급·7급·9급 비서 각 1명에 인턴비서 2명까지 총9명을 둘 수 있다. 이들은 ‘주군’의 임기에 맞춰 최대 4년밖에 자리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리스크가 있지만, 연봉은 여느 대기업에 뒤지지 않을 만큼 세다.
4급 보좌관의 올해 연봉은 6961만 6560원이다. 528만 3300원의 월급에 명절휴가비 466만 2720원, 정근수당 등이 포함된 금액이다. 5급 비서관의 경우는 연봉이 6042만 5520원이다. 여기엔 월마다 지급되는 초과근무수당 35만원, 의원보조수당 15만원, 급식비 13만원, 직급보조비 25만원이 포함돼 있다. 명절휴가비는 본봉의 60% 수준으로 1년에 2회 지급된다. 6급 비서의 연봉은 4197만원, 7급 비서는 3629만원, 9급 비서는 2801만원 수준이다. 인턴비서는 매월 120만원씩 받는다. 다만 이들은 별정직 공무원인 만큼, 수당이나 연금 등의 혜택은 받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