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통합진보당 탓에 곤혹스럽다”

입력 2012-05-08 08:14수정 2012-05-08 11: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박지원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통합진보당의 비례경선 부정사건과 관련해 “지난 총선에서 야권단일화를 통해 선거를 했기 때문에 민주당에도 책임이 있지 않느냐는 얘기가 나와서 곤혹스럽다”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8일 SBS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통합진보당이 쪼개질 지경으로 치닫고 있는데, 야권연대는 괜찮으냐는 질문에 “그것 때문에 우리 당도 고심의 고심을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의 눈높이를 보고 국민이 무엇을 원하는가를 봐서 지혜롭게 해결을 했어야 하는데, 상당히 어려운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며 “통합진보당이 슬기롭게 빨리 진행을 해줬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새누리당 대권주자들이 여야가 같은 날 같은 시간에 완전 국민경선으로 대통령 후보를 뽑자는 주장에 박 위원장은 “염치가 없는 소리”라고 일축했다. 그는 “지난 18대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모바일 투표를 한꺼번에 하자고 제안했었지만 새누리당이 거부했다”며 “제도적으로 법적으로 도저히 할 수 없는 지금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새누리당이 얼마나 헌누리당인지 알 수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 위원장은 이해찬 전 총리와 연대문제에 “국민과 당원만이 결정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민주당의 당헌 단계는 30%의 대위원이 현장투표를 하게 돼 있고 국민과 진성당원 70%가 모바일이나 여론조사로 결정하도록 돼 있다”며 “누가 담합해서 결정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새누리당이 제안한 민간이 사찰사건의 특검 주장도 비난했다. 박 위원장은 “민간이 사찰이 불거지자마자 검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특검을 하자는 것은 수사를 하려 하지 않는 것”이라며 “총선 기간 동안 특검을 하자는 것은 검찰 수사를 피하고 특검법을 만드는 기간도 피하자는 꼼수 정책”이라고 역설했다. “만약 검찰의 수사가 미진할 때는 진상조사, 국정조사, 특검을 요구할 것”이라며 “이게 19대 국회에서 이뤄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