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韓경기지표 혼조, 회복 판단 이르다”

입력 2012-05-0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3일 “우리나라 경기지표는 믹스 시그널을 보이고 있다”며 “좋아지고 있다거나 나빠지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유럽경제와 관련해서는 아시아 쪽의 전망이 유럽 현지에 비해 낙관적이라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조건으로 ‘세계경제의 회복’, ‘국내경제의 성장 지속’을 강조해왔다. 이를 고려하면 기준금리 인상은 당분간 단행하지 못할 전망이다.

김 총재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ASEAN+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끝난 직후 기자들과 만나 “지난해 4분기가 한국경제의 저점이었다고 말하기는 주저된다”고 말했다. 터닝 포인트였는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총재는 대외 경제의 회복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했다. 그는 “나쁘게 가지는 않겠지만 좋다고 말하기도 어렵다”고 진단했다. 유럽 재정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 등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1분기만 놓고 봐서는 판단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다만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서 내수의 비중이 커지는 것은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김 총재는 “작년에 경제가 3.6% 성장했고 올해 전망은 3.5%로 차이가 크지 않은데 내수의 비중이 커진다면 국민들이 체감경기는 개선된다”고 말했다.

물가와 관련해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염려했다. 김 총재는 “올해 연말이면 근원인플레이션율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같아질 것”이라며 “국민들의 기대인플레이션이 낮아지지 않으면 물가 안정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김 총재는 “한은은 이 같은 상황이 더욱 부담이다”고 말했다.

치앙마이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기금에 대한 우리나라의 분담금 출자 형태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김 총재는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분담금 규모가 384억달러인데 전부 다 외환보유액에서 부담할지는 정부와 논의를 더 해야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취임 후 단행한 한은의 조직개편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적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30년 이상 근무한 한은 직원은 변하기 쉽지 않지만 4~5급의 젊은 직원들은 긍정적으로 변했다”며 “한은 직원들이 능력을 더욱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닐라= 최재혁 기자 freshphase@

용어설명 / 치앙마이이니셔티브(CMI)

2000년 5월 태국 치앙마이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ㆍ중ㆍ일) 재무장관회의에서 합의된 역내 금융위기 예방시스템이다. 회원국 중앙은행 간에 체결된 통화스와프 거래를 기초로 위기 발생 시 자국통화와 국제통화를 일정 시점에서 결정된 환율로 차입하고 계약기간 경과 후 다시 상환하는 방식이 채택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