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림ㆍ벽산 닮은 꼴?…줄도산 가능성 커져
건설업계가 또다시 퇴출·법정관리 공포에 휩싸였다.
특히 업계가 장기 불황으로 한계상황에 몰리고 있는 상황에서 풍림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하자 채권단발 구조조정의 시발탄이 아니냐는 우려로 노심초사하고 있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 30위인 풍림산업이 채권단 주도의 구조조정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앞선 2010년 이후 건설사 구조조정의 경우 정부 일괄발표 처리하는 등 정부가 주도해 추진했다.
이는 건설사 부실이 경제 전반에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선제적 조치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인 것이다.
오히려 구조조정 명단에서 제외된 건설사는 정상 경영이 가능하도록 지원을 받게하려는 성격도 강했다.
하지만 이번에 1차 부도를 내고 최종 부도 위기에 몰린 풍림산업은 사정이 다르다. 정부가 관여하지 않고 전적으로 채권단이 주도해 법정관리행 직전까지 몰아가고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풍림산업은 채권단 내부 이견으로 최종부도 막판까지 진통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건설사 법정관리행은 풍림산업이 시발탄일 뿐이라는 분석이 많다. 이미 같은 워크아웃사인 우림건설과 벽산건설 역시 법정관리행이 임박했다는 얘기가 업계 안팎에서 돌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건설사들은 일부 해당 채권은행단이 만기연장이나 추가지원을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풍림산업과 닮은꼴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적지 않다.
뿐만 아니다.
이달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건설사 퇴출이나 법정관리는 시간문제라는 우려가 높다.
저축은행 부실 역시 프로젝트 파이낸싱(PF)사업이 진원지가 된 경우가 많아 건설사들의 부실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중견건설사 관계자는 “기존 구조조정 대상은 시공능력 50위권 밖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30위권 이내까지 좁혀지고 있다. 빠른시간 내 정부에서 실효성있는 부동산 대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중견건설사 줄도산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