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건축허가면적 전년비 5.5% 증가

입력 2012-04-29 10:52수정 2012-04-29 21: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도권 허가, 착공 면적 줄고 지방 늘어

지난 1분기 수도권 허가·착공 면적은 줄고 지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2012년 1분기 건축허가면적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5.5% 증가한 2935만9000㎡(5만2840동), 착공면적은 14.5% 증가한 2263만4000㎡(4만3135동) 이라고 29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허가와 착공면적이 각각 166만2000㎡(12.4%), 125만1000㎡(14.5%) 감소한 반면, 지방은 319만8000㎡(22.1%), 412만3000㎡(37.1%) 증가했다.

그러나,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건축허가 및 착공 면적은 각각 24.4%, 2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년 하반기에 집중되는 건축허가 등의 신청으로 인한 것으로 풀이되낟.

건축허가의 경우 주거용이 1115만㎡(38.0%), 상업용이 760만㎡(25.9%), 공업용이 374만㎡(12.7%), 교육·사회용이 227만6000㎡(7.8%), 기타 459만3000㎡(15.6%) 이다.

착공은 주거용이 906만5000㎡(40.1%), 상업용이 506만1000㎡(22.4%), 공업용이 289만9000㎡(12,8%), 교육·사회용이 152만2000㎡(6.7%), 기타 408만8000㎡(18.1%)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1분기 허가면적의 경우 수도권의 주거용 건축물은 전년동기 대비 줄어든 반면, 지방은 크게 증가했다. 특히 소형주택 공급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용 건축물은 전년동기 대비 157만6000㎡(16.5%) 증가 했으며, 수도권이 86만3000㎡(17.5%) 감소한 반면 지방은 243만8000㎡(56.2%)로 증가했다. 특히, 서울이 136만9000㎡(50%) 감소한 반면, 충남은 78만2000㎡(232.3%) 늘었다.

또한, 주거용 건축물 중 아파트는 허가면적이 52만㎡(9.4%) 감소한 반면 허가동수는 50동(5.5%)이 늘어났다. 오피스텔, 고시원 등준주택의 경우 전체 허가면적은 증가했으나, 오피스텔은 전년동기 대비 175%가 늘고, 고시원은 65% 감소했다.

아울러 1분기 건축물 허가현황을 볼 때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추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착공면적을 보면 상업용 건축물중 상업시설의 착공면적이 수도권은 감소한 반면, 지방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상업시설의 착공면적은 전년동기 대비 수도권이 30만2000㎡(22%) 감소한 반면, 지방이 73만3000㎡(50.2%)로 늘었다.

특히, 경기도의 상업시설 착공면적은 29만4000㎡(30.3%) 감소한 반면 충남은 50만1000㎡(435.3%)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세종시 영향으로 보인다.

1분기 규모별 건축허가는 연면적 100㎡ 미만 건축물이 전체의 40.5%인 2만1412동, 100~200㎡ 건축물이 1만109동(19.1%), 300~500㎡ 건축물이 8192 동(15.5%) 순이었다.

소유주체별 건축허가는 개인이 전체의 36.0%인 1057만8000㎡, 법인이 1600만5000㎡(54.5%), 국·공유 및 기타가 164만2000㎡(5.6%)이다.

착공은 개인이 전체의 38.2%인 865만4000㎡, 법인이 1164만5000㎡(51.4%), 국·공유 및 기타 135만8000㎡(6.0%) 순이다.

이외에도 멸실현황을 용도별로 보면 주거용이 전체의 36.9%인 106만4000㎡(8980동)이 멸실됐다. 상업용이 26.2%인 75만6000㎡(2721동), 기타가 14.3%인 41만4000㎡(1,138동) 순으로 멸실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