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 분담론’ 나온 민주 ‘전국 정당화’시동(?)

입력 2012-04-26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계파간 대립 완화”vs “인위적 판짜기”

민주통합당에서 ‘충청-당대표, 호남-원내대표, 영남·수도권-대선주자’ 구상이 흘러나오면서 연말 대선을 앞두고 전국 정당화 성사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앞서 민주당의 ‘포스트 4·11총선’ 지도체제를 두고 당 주류가 된 친노무현계 이해찬 상임고문이 ‘당대표’를, 구민주계이자 호남을 대표하는 박지원 최고위원이 ‘원내대표’를 나눠 맡는 ‘탈(脫)계파 역할분담’을 하자는 말이 나왔다.

여기에 차기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부산·경남(PK) 문재인 상임고문, 김두관 경남지사와 수도권의 손학규, 정세균 상임고문을 내세우는 밑그림이 그려지면 이론적으론 ‘지역 통합 구도’가 갖춰지게 되는 셈이다.

친노와 친DJ의 결합으로 호남 충청 영남 수도권을 대표하는 인사들로 당 지도부와 대선 진용을 구축하자는 것인데 당 안팎에선 계파간 화학적 결합을 넘어 외연을 넓히는 전국 정당화까지 이룰 수 있다는 희망섞인 바람이 나왔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26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모양새는 호남 껴안기가 될지 모르지만 지역 출신 몇 사람을 끼워 넣는다고 전국정당화가 되는 건 아니다”면서 “호남 출신 원내대표 하나로 호남의 민심을 달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했다.

임혁백 고려대 교수는 “계파·지역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어떤 형식으로든 호남 출신을 당직에 배려해야 하는 것은 맞다”면서도 전국정당화 가능성에 대해선 “박 최고위원이 어느 정도 호남세력을 대변하고 있느냐에 따라 달려있다”고 유보적 입장을 취했다.

원내대표 선출을 두고 지역 안배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됐었다. 공천과정에서 특정 계파 독식론 등이 불거지면서 이낙연, 박기춘 의원 등이 ‘호남 유일후보’와 ‘수도권 대표론’을 전면에 내걸고 원내대표 경선에 출사표를 던진 것은 그만큼 계파 갈등이 심각하다는 방증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역할 분담론’이 차선일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당 관계자는 “친노 비노의 대립구도가 상당히 완화될 수 있다”며 “친노 득세에 따른 당내 여론 안 좋았는데 큰 틀에서 화합국면으로 가기 위한 정치력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

반면 인위적 판짜기와 담합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익명을 요구한 당내 인사는 “인위적으로 프레임을 짜는 데 대해 국민들이 동의할 지 의문”이라고 했다. 특히 원내대표 출마선언을 하고 표밭갈이에 나선 후보 진영은 반발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