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산업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뜯어 고친다

입력 2012-04-25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 2조2500억원 생산유발 효과·7700억원의 부가가치·일자리 1만2700개 증대 기대

정부가 기계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 시키기 위해 팔을 걷고 나섰다. 기계산업 체질 변화로 2조25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7700억원의 부가가치, 일자리 1만2700개 증대 시킨다는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기계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전환하기 위해 내년부터 ‘기계산업 서비스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기계설비 성능검사, 수리(A/S), 부품·소재 공급, 중고기계 유통 등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기계산업 서비스화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지경부는 선진국의 기계산업은 서비스화(서비스 매출 비중 40%이상)를 통해 제조업의 고용 한계를 극복하고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국내 기계산업의 경우 서비스 분야 매출 비중이 21%에 불과해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방안’을 수립하고, 25일 위기관리대책회의(기획재정부장관 주재)에서 추진키로 했다.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방안의 내용은 △서비스화를 위한 기본 인프라 조성 △중고기계 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기계 금융 활성화 지원체계 확립 △중소 기계업체 대상 서비스망 지원 등이다.

우선 기본 인프라 조성을 위해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주도로 민간에서 4113억원을 투자한다. 경기도 시흥시 시화MTV에 20만㎡ 규모의 ‘기계설비 토탈 서비스 컴플렉스’를 조성, 국토해양부는 시화MTV(멀티테크노밸리) 개발계획 변경 승인 등 부지확보를 지원한다. 콤플렉스내에 기업의 유휴설비와 금융권의 담보물건 등을 신속·공정하게 매각할 수 있는 매매장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중고기계 거래 활성화를 위해 기계 성능검사 기준을 마련하고, 거래 목적에 따라 적정수준의 검사를 실시하는 등 기반 구축에 나섰다. 지경부는 중고기계 품질보장 공제상품을 개발하고 기계의 생산, 소유권 변동, 담보권, 수리내역, 폐기 등 사용 전주기에 대한 이력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지경부는 기계 금융 활성화 지원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시행(2012년6월)에 맞춰 기계의 성능이나 품질을 감안한 담보거래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계설비 담보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중소 기계업체를 대상으로 서비스망을 지원한다. 매매장터 내에 수리센터를 구축해 사후지원 서비스가 열악한 중소기업 제품의 수리, 유지보수, A/S인력 교육 등의 서비스를 실시하고, 수출유망국가에 기업 공동 A/S 및 마케팅 지원 허브로 활용하는 기계류 수출거점센터 구축 등 기계류 수출 지원사업 추진한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에 마련된 기계산업 서비스화 추진을 계기로 기계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구조로 점프시켜 2020년에 우리나라를 기계분야 세계 5강으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