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당 대선 후보되면 지사직 사퇴”… 거듭되는 말바꾸기 논란

입력 2012-04-23 14: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문수 경기지사가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키로 하면서 지사직 사퇴를 놓고 입장을 번복해 논란이 일고 있다.

김 지사는 23일 공무원노조와의 협약식을 갖는 자리에서 “당내 경선에서 최종 후보가 된다면 지사직을 사퇴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지사직 유지와 사퇴 어떤 것을 선택해도 비난받게 돼 있다”며 “대한민국의 정치 선진화와 지평을 넓히기 위해서라도 비난을 감내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도지사 등 공직자의 경우 대선 예비후보등록을 위해선 직을 사퇴하도록 규정한 공직선거법 73조에 문제제기하며 헌법 소원제기 등으로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러면서 “사실상 경선에서 패하면 지사직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 다수의 생각”이라고도 했다.

이에 따라 김 지사는 18대 대통령선거 240일 전인 이날부터 시작된 예비후보 등록 일정과는 상관없이 지사직을 유지하며 당내 경선에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김 지사는 앞서 21일 도청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지사 사퇴 결심을 굳혔고, 그 시점을 고심하고 있다”고 했고, 22일 대선 출마 선언 기자회견에선 “조만간 예비후보로 등록하겠다”고도 했다. 지사직 사퇴를 두고 말을 뒤집은 셈이다.

김 지사의 이 같은 지사직 유지 결정엔 새누리당 내 사퇴 불가 압박이 작용한 것이란 게 중론이다. 김 지사의 사퇴시 치러야 할 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의 당선이 보장되지 않는 만큼, 광역자치단체장 자리를 섣불리 내놔선 안 된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지난해 8월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 무산을 계기로 물러난 후 10·26 보궐선거에서 야권의 박원순 후보에게 시장 자리를 넘겨준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지사직을 둘러싼 김 지사의 말 바뀌기가 비단 이번 한 번뿐이 아니라는 점에서 논란을 더 하고 있다.

김 지사는 앞서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선거를 보름 앞두고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선 출마는) 전혀 생각해 본 적도 없다. 만약 대통령에 출마한다고 하면 도지사(선거)에 나오지 말고 대선 준비를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한 바 있다.

4·11 총선을 앞두고는 사석에서 “이번 총선에서 박근혜 선대위원장이 과반 의석을 끌어내면 그의 대선을 도울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했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