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일본산 먹거리 방사능 안전하다고?

입력 2012-04-23 10: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태헌 사회생활부 기자

일본산 먹거리에서 방사능이 빈번히 검출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현상 감싸기에만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농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국내로 수입되는 일본산 먹거리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돼 수입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는 통계를 수시로 발표하고 있다.

그런데 통계를 드려다 보면 몇가지 ‘꼼수’가 눈에 띈다.

식약청은 통계를 내면서 방사능 검출로 반송·폐기된 건 수는 통계에서 제외한다. 일본산 식품에서 방사능 검출 건이 하나도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식약청은 방사능이 검출돼 반송된 건수를 공개해 달라는 요구에 “오해의 소지가 있어 밝힐 수 없다”고 자료 공개를 거부했다.

농식품부는 방사능 표시율에 대해 꼼수를 부리고 있었다.

수입 시에는 일본 방사능 검출 기준에 따라 수입하고 방사능 물질이 검출되면 일본 기준치 보다 3.7배 높은 국내 기준으로 방사능 검출율을 표시하고 있다.

실제 지난달 27일 24Bq의 방사능이 검출된 냉장대구도 수입기준에 따르면 24%의 방사능 물질이 검출 된 것이지만 농식품부는 국내 기준에 따라 방사능 검출을 6.67%라고 발표했을 뿐이다.

수입은 일본기준, 검출량 발표는 국내기준으로 이중잣대를 대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는 방사능 우려를 환경단체와 언론의 책임으로 떠넘기며 수입업자의 생존권도 지켜줘야 하지 않느냐고 말한다.

식약청 조혜영 주무관은 “환경연합 등에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기자회견 등을 하고 있다. 국내 유통되는 식품에서는 모두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아 통계에서 빼는 것이 무슨 문제가 되느냐”고 되물었다. 또 식약청 한 사무관은 “소비자도 중요하지만 수입업자도 생각해 줘야 한다”며 반송 건 수 등의 통계 자료는 공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 건강보다 수입업자의 생계가 더 걱정인 정부, 그런 정부를 믿지 못하는 국민들의 심정을 알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