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가 22일 제18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여야 대선후보들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김 지사는 이날 국회에서 대선출마 회견을 갖고 새누리당 경선에 ‘완전국민경제’를 도입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다른 대권경쟁자인 이재오 의원과도 의견일치를 봤다는 게 김 지사의 주장이다.
정몽준 전 대표도 이르면 이번 주말께 출마를 공식화하고, 이 의원은 내달 15일 열리는 전당대회를 전후해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총 4명이 새누리당의 대선 본선진출 티켓을 놓고 다투게 될 전망이다.
새누리당 주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지는 배경에는 군소 후보들의 복잡한 속내가 얽혀있다. 겉으로 내세운 이들의 명분은 ‘대세론’의 위험성이다. 지난 1997년, 2002년 대선 당시 독주하던 이회창 후보가 몰락한 사례를 들며 대안 후보들이 많아야 대선승리가 가능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속내에는 박 위원장의 대세론이 더 고착화되기 전에 ‘비박(非朴)연대’ 세력화를 통해 경쟁구도를 만들어야 한다는 조급함이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박 위원장 측에서도 대세론이 무너질 가능성이 크지 않은 만큼 일단은 독주보다는 경선 흥행을 통해 최종 후보로 나서는 방향이 더 좋다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야권에서도 총선 패배 이후 대선 예비주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유력 주자 중 한 명인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올인했음에도 ‘낙동강 벨트’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표를 내면서 이 틈을 비집고 김두관 경남지사가 문 고문을 비판하며 대선채비에 나서 주목된다.
김 지사는 최근 여의도와 경남에 별도의 사무실을 운영하며 대선전초기지로 활용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김 지사는 대선출마 선언 시기와 방법 등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손학규 전 대표는 이날 핀란드 등 유럽 5개국 순방에 나서 교육, 복지, 노동 등 선진국의 각 분야 현황을 살펴보고 조만간 경제 정책을 정리한 책을 출판할 계획이다.
정세균 상임고문은 서울 종로 탈환 여세를 몰아 대권도전 발판을 다지고 있으며, 정동영 상임고문은 강남대첩에는 실패했으나 진보적 가치를 더욱 강조하며 선명성을 강화, 지지세를 모으고 있다.
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야권연대를 이룬 통합진보당도 새 지도부가 구성되면 곧바로 대선체제로 접어든다는 계획이어서 관심이 모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