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 신고전화 급증

입력 2012-04-18 16: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시간만에 피해접수 510여건 달해

#. “지난 2000년초에 전단지 광고를 보고 무등록 대부업체로부터 사업자금을 빌렸는데, 가게로 찾아와 채무상환을 요구하면서 협박을 합니다. 일수대출로 100만원을 빌리고 100일 동안 매일 1만3000원을 상환(연 200%)하는 등 현재까지 약 2억원의 사채가 있습니다. 그동안 보복이 두려워 신고를 못했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박모씨)

#. “A대부업체에서 300만원, B대부업체에서 400만원 등 7개 대부업체로부터 약 2300만원을 39%의 고금리로 빌려쓰고 있습니다. 이걸 저금리 대출로 바꿀수 있을까요?”(최모씨)

오늘(18일)부터 금융감독원 7층에 마련된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쉴 새 없이 걸려오는 민원전화 내용 중 하나다. 불법 추심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는 호소부터, 고금리 대출을 저금리 대출로 갈아타는 방법을 묻는 전화까지 내용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문을 연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신고 접수가 폭주하고 있다. 오전 한때 신고전화가 집중되면서 신고대표 전화인 1332 연결이 잠시 끊길만큼 피해자들의 문의가 몰렸다.

피해신고 접수는 오후 1시 기준으로 약 510여건을 기록, 평소 접수건수(약 60건) 대비 9배에 달한다.

실제 신고처리는 신속히 이뤄졌다. 사채업자에게 협박과 위협을 받고있는 박모씨에게는 신고접수 후 즉시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또한 새희망홀씨 등 저금리의 서민금융 상품을 안내했다.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고 있는 최모씨에게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바꿔드림론을 안내했으며, 이후 캠코에 통보해 저금리 대출로 전환을 유도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불법사금융 척결을 위해서는 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면서 "금융지원?신용회복?법률지원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등 신고-상담-피해구제를 연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집중신고기간 이후에도 내부 인력을 확충해 민원에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

권혁세 금감원장은 "신고자들의 피해신고 내용이 고금리인지, 추심인지 등등을 면밀히 파악하고 적극 홍보해 민원제기를 꺼리고 있는 일부 피해자들도 나설수 있도록 할 것"이라면서 "집중 운영기간인 45일 이후에도 금감원 내부의 관련 인력을 확충해 민원에 대처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고금리대출이나 불법채권추심 등 피해현황에 대한 신고는 국번없이 1332번 등 전화를 통해 가능하며, 금감원 참여마당(www.fss.or.kr), 서민금융119(s119.fss.or.kr) 등 인터넷으로도 할 수 있다. 집중 신고기간은 다음달 31일까지이며 평일 오전 9시에서 오후 9시, 주말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