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왕좌왕’문성근 임시지도체제 … 당내 비판 고조

입력 2012-04-18 11: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당 수습은 뒷전 … 대여투쟁만 일변도에 ‘자성론’ 나와 3주짜리 임시지도부, 공약 쏟아내자 “대선 어떻게 치르라는 거냐”

총선 패배로 인해 3주간의 임시지도체제로 전환한 민주통합당 문성근 대표 대행체제에 대한 당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임시지도부가 ‘총선 패배후 당 수습’이라는 중대한 시점에 당 안정에는 신경 안 쓰고 대여 투쟁에만 목청을 높인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문 대행의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은 민생 현장이 아닌 언론노조 지도부의 파업 농성현장 방문이었다. 그는 이 자리에서 “19대 국회가 구성되면 MB(이명박)정권 언론 장악에 대해 청문회를 개최해서 진상을 밝혀내고 언론 관계법을 개정해 나가겠다”고도 약속했다.

문 대행은 개인 자격으로 이날 저녁 한 방송사 본관 앞에서 열린 파업 촛불시위에도 참석했다.

양승조 의원은 18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임시지도부는 다가올 전당대회를 준비하고 제대로 마치는 게 중요한 임무”라며 “국민들 입장에서 볼 때 총선 패배 후 당이 질서 있게 가지 못하고 허둥지둥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행보”라고 꼬집었다.

이춘석 의원은 “총선 패배 원인과 책임을 밖에서 찾을 게 아니라 당 내부의 개혁과 성찰이 필요한 때”라며“임시지도부는 왜 우리가 총선에서 패했는지 인정하는 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3주짜리’ 임시지도부가 대여 투쟁을 하는 데 대한 정당성 문제도 제기된다. 문 대행은 공개석상에서 반값등록금을 비롯한 민생공약 실천특위 구성, 강남·노원 등지의 투·개표 관리 부실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언론사 파업 대책을 논의할 언론특위 구성 등을 내놨다.

이에 대해 호남권 한 중진 의원은 “단기간 시간을 갖고 해결하지 못할 정책들이 대다수인데 임시지도부가 공약을 남발하고 다니면 다가올 대선을 어떻게 치르겠나”라고 혀를 찼다. 또 “이럴 경우 민주당이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책임론에 휘말릴 수도 있다”고 했다.

이런 시각을 의식한 듯 박용진 대변인은 전날 국회 브리핑에서 “문 대행의 행보와 관련해 일부 보수언론에서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는 것 잘 알고 있다”며 “당 대표 역할의 대행은 비록 20일이지만 정당의 담을 낮추고 문을 활짝 열어놓는 일은 당연히 해야 할 일”이라고 감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