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우“철강업계 불공정 유통행위 적극 대처 할 것”

입력 2012-04-17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불공정한 유통행위가 국내 철강제품 내수시장에 가격 왜곡을 일으키고 있다"며 "적극적으로 대처 하겠다"고 밝혔다.

홍 장관은 17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지식경제부 장관 초청 철강업계 간담회’에 참석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철강수요 감소와 저가 수입산 급증 등 철강업계의 어려움을 이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정준양 철강협회 회장은 “전반적인 수요 둔화 속에서 저가산 수입재 급증 및 불공정 유통 행위 등으로 작년 하반기 영업 이익이 상반기 대비 30% 감소하고, 올해 1분기 영업 실적도 매우 부진한 것으로 예상되는 등 철강업계의 경영 여건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 역시 수입 철강제품의 원산지 표시의무 위반 사례가 빈번해지며, 이런 불공정 유통행위가 국내 내수시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수입 보론강 급증에 따른 대응, 전기요금 토요 경부하제 도입, CO2-Free 제철기술개발사업(수소환원제철법)에 대한 R&D 지원 등을 건의했다.

홍 장관은 원산지표시의무 위반 등 일부 불공정한 유통행위가 국내 철강제품 내수시장에 가격왜곡을 일으키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원산지 표시의무 단속에 나서는 등 우리 철강업체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관련법 개정을 통해 원산지 표시의무 품목에 H형강 이외에 판재류(후판, 열연·냉연강판)도 포함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홍 장관은 보론강 문제의 경우 “수입국과의 양자 채널을 통해 상호 시장에 대한 존중을 토대로 한 교역관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상대국에 지속적으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며 “전기요금의 토요 경부하제 도입은 타 업종과의 부담액 이전 문제가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홍 장관은 “철강 공급과잉 시대를 맞이해 철강업계 스스로 기술개발, 고부가가치화와 FTA 적극 활용 등이 없이는 생존하기 어렵다는 현실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건설·조선 등 수요산업과의 상생협력과 중소기업과의 동반성장의 기틀을 다지는 데에도 철강업계가 적극 노력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