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소, 총호가잔량 비공개…개인투자자만 피해

입력 2012-04-17 09:19수정 2012-04-17 10: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6월부터 선물·옵션 등 모든 파생상품 적용“공공성 무시한 거래소 외국인과 기관만 이익 대변”

한국거래소가 6월부터 파생상품시장에서 총호가 잔량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으려는 방침에 증권업계와 투자자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17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추진하고 있는 총호가 잔량 비공개 방침이 ‘개인투자자 죽이기’라며 인터넷상에서 철회를 요구하는 반대카페가 개설되는 등 철회 요구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업계에서도 총호가 잔량 비공개 여부는 추가적인 논의 필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외부의견 수렴 없이 거래소가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이번 조치는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등 특정집단에게만 유리할 수 있어 오히려 불공정경쟁을 부추길 수 있어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은 “총호가 잔량 비공개는 시장 정보를 상대적으로 축소할 우려가 있다”며 “이번 조치가 주문오류나 비정상적인 호가제출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겠지만 오히려 유동성이 낮은 선물 옵션 상품에는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중호 동양증권 연구원도 “거래소가 추진하고 있는 5호가 잔량은 총호가 잔량에 비해 정보 가치가 낮기 때문에 총호가 잔량 비공개는 문제 소지가 있다”며 “총호가 잔량 비공개로 인한 정보의 질적 저하가 우려가 거래가 풍부한 근월물 보다 원월물 선물·옵션 등에서 더욱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가 공공기관으로써 마땅히 공개해야 할 정보를 비공개하려는 움직임은 이해할 수 없다”며 “압도적인 정보취득 능력을 가진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를 위한 조치밖에 되지 않아 개인투자자들만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총호가수량을 미공개하고 5호가수량만을 공개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좋은 지표를 없애고 잘못된 지표를 강요하는 것”이라며 “1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공개돼 오던 투자정보를 명확한 근거자료 제시없이 거래소에서 독자적으로 판단해 비공개로 전환하는 것은 반 시장적 정책”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거래소측은 “투기세력이나 고빈도거래자들이 총호가 잔량을 조작할 수 있으나 5호가 이내에 입력 시에는 신중히 주문을 제출할 수밖에 없다”며 “모든 투자자에게 공평하게 비공개되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