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국채금리 급등…구제금융 가나

입력 2012-04-17 06: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스페인의 국채 금리가 치솟는 가운데 정부가 경기 후퇴를 공식 인정했다.

전문가들은 스페인이 구제금융 지원이 필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스페인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16일(현지시간) 6.09%를 기록, 6.0%선을 돌파했다.

이는 마리아노 라호이 국민당(PP) 정부가 들어선 이후 최고치로, 지난 13일 10년물의 마감 금리는 5.93%였다.

이날 스페인 국채 5년물 신용부도스와프(CDS)는 종전 499bp(1bp=0.01%)에서 장중 사상 최고치인 523bp까지 올라갔다.

라호이 보수당 정부는 노동개혁과 금융개혁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물경기가 계속 악화되는 가운데 은행권이 안고 있는 악성대출의 규모가 워낙 크고 전시행정에 따른 각 지방정부들의 막대한 부채도 감당할 수 없는 수준에 달했다.

이에 대해 시장은 점점 동요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스페인의 국채 금리가 뛰면서 이탈리아 포르투갈 등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국) 다른 취약 국가들의 국채 금리도 동반 상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루이스 데 귄도스 스페인 경제장관은 이날 “스페인이 2분기 연속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침체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자국의 경기 후퇴를 공식 시인했다.

귄도스 장관은 “올해 1분기도 작년 4분기와 비슷한 패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스페인 정부는 정부 지출을 억제하는 초긴축정책을 통해 작년 GDP 대비 8.5%였던 재정적자를 올해에는 5.3%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스페인의 경제상황을 볼때 올해 재정적자 목표치 달성은 무리고 아일랜드·포르투갈·그리스에 이어 구제금융을 받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스페인 국채 금리가 치솟는 것은 유럽중앙은행(ECB)의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라호이 정부에 대한 지지율도 긴축정책에 대한 반발로 크게 떨어지는 추세여서 긴축 정책을 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7%를 넘으면 경제를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상황에 몰려 구제금융을 받는 수순을 밟아야 한다.

스페인은 오는 17일과 19일로 예정된 두 차례의 국채 입찰에서도 금리가 계속 치솟을 경우 구제금융을 받아야 하는 상황으로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시장 분석가들은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