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하향 조정했다.
한은이 16일 ‘2012년 경제전망(수정)’을 통해 올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3.5%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전망한 3.7%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치다.
한은은 세계 경제성장률 하향조정과 원유도입단가 상승이 성장률 하락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부문별로는 민간소비 성장률이 3.2%에서 2.8%로 조정됐다. 임금상승, 고용사정 개선으로 가계의 실질구매력은 개선되지만 가계부채 누적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가 소비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가계의 이자상환비율은 지난해 4분기 2.9%로 2003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4.2%에서 6.2%로 상향됐다. 정보기술(IT)부문을 중심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상품수출과 수입의 성장률은 전망치가 모두 내렸다. 수출은 5.0% 성장에서 4.8%로, 수입은 5.2%에서 4.5%로 각각 조정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로 전망됐다. 지난해 12월보다 0.1%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보육료 지원과 무상급식 확대 등이 소비자물가를 내리는 원인으로 꼽혔다.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145억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12월보다 15억달러 늘어난 수치로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가 개선될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