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총선 전 지표로 본 한국경제

입력 2012-04-10 10: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고용 증가·물가상승 둔화 ‘양호’…향후 정국 불안·유럽 위기 변수

4·11 총선 전후 고용동향과 소비심리지수 등으로 살펴본 한국경제는 양호한 편이다.

지난 2월 취업자 증가수는 44만 7000명을 기록했고, 3월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예상이다. 고용 비수기인 지난 1,2월도 40만명 이상 취업자 수가 늘어났다.

3월 소비자물가상승률도 고물가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있다. 무상보육 등 정책변수가 2.6%로 내려오게 한 요인이었지만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세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다. 물론 선거 때 대량으로 풀린 돈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따라 물가가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투표일 이틀 후 열리는 한국은행 4월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 동결로 이를 미연에 방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3월 무역수지도 23.3억 달러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또 1분기 누계 16.2억 달러로 흑자를 기록하는 등 수출 또한 괜찮다.

생산과 소비 지표에서도 경기 회복 조짐을 예상케 한다.

2월 광공업생산이 0.8% 늘어 1월(3.2%)에 이어 전월 대비 두 달째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10월(-0.6%), 11월(-0.3%), 12월(-0.6%) 등 감소세가 멈춰 3월 바닥론에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소비심리도 개선됐다. 한국은행은 3월 소비자심리지수가 101포인트로 전월에 비해 1포인트 올랐다고 밝혔다. 이 지수가 100을 넘으면 경기흐름을 긍정적으로 예상하는 소비자가 더 많다는 의미로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 소비심리가 회복된 것은 주식시장 반등 및 기업의 수출 확대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표로 본 한국경제의 현재상황은 바닥탈출 신호가 나온다. 하지만 경계의 목소리도 들린다. 유럽재정위기 상황은 아직까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꺼지지 않은 불씨다. 최근 스페인의 국채 발행 금리가 상승하는 등 긴장감은 높아졌다. 미국의 고용상황도 녹록치 않다. 이로 인해 양적완화 정책이 계속될 거라지만 양적완화는 아직까지 전세계 경제가 완연한 회복국면이 아니라는 반대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총선 후 한국의 경제상황이 지표대로 호조될지 아니면 정국 불안과 유럽 등 세계경제 변수에 따라 위기상황이 지속될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