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적기업가 육성 등 ‘사회적경제’ 적극 지원

입력 2012-04-05 11:40수정 2012-04-05 11: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가 청장년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고 사회적경제 허브기능을 수행할 사회적기업 개발센터를 만드는 등 공동체를 회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사회적경제’ 지원을 본격화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사회적경제 종합 지원계획’을 5일 발표했다.

시는 △혁신적 사회적기업 발굴 △성장기 사회적기업 지원 △체계적인 중간지원시스템 구축 △공공부문 소비 시장 확대 △지역사회 중심의 협력적 생태계 기반 구축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시는 사회적경제 비중을 오는 2020년까지 지역총생산(GRDP)대비 2%, 전체 고용대비 8%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우선 사회적경제 조성의 기반이 될 청장년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한다. 청장년 사회적기업가 선정해 최대 3년간 창업지원금(3000만원), 인큐베이팅센터 입주, 해외벤치마킹 기회 등을 제공한다.

또 오는 10월까지 도시농업 등 서울형 10대 전략분야를 선정하고 혁신적 해법을 제시하는 사회적기업 50개소를 만든다. 사회적기업가의 창업을 돕는 ‘서울시 사회적기업가 인큐베이팅 센터’도 오는 11월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성장기 사회적기업’에는 사업비는 물론 글로벌시장 개척을 위한 국제 박람회 참가, 시장 리서치, 제품 홍보비용을 지원한다.

아울러 사회적경제 주체들을 연결해주는 ‘사회적기업 개발센터’를 오는 9월 새로 만든다. 민간이 위탁 운영할 이 센터는 사회적경제 관련 연구 조사 및 정책건의와 공동사업 개발 및 마케팅 지원을 비롯해 공공구매활성화와 전문가 육성 등을 통해 사회적경제가 뿌리 내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여기에 사회적 기업의 제품을 우선 구매 할 수 있는 공공부문 소비시장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시는 지난해 116억이었던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구매 목표를 올해 500억원으로 대폭 늘렸다.

이와 함께 시는 사회적 기업의 제품을 우선구매 할 수 있는 공공부문 소비시장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난해 116억이었던 사회적기업 제품 우선구매 목표를 올해 500억원으로 대폭 확대했다.

권혁소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은 “시민이 주도하고 공공이 지원하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에 시가 앞장서겠다”며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경제 패러다임 창출과 함께 공동체 회복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나 빈곤·소외극복 등의 사회적 가치 실현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