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다세대 낙찰가율, MB정부와 함께 무너져

입력 2012-04-05 10:13수정 2012-04-05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월 수도권 연립·다세대 낙찰가율 71.7% 이명박 대통령 취임 이후 최저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매지표 변화가 현 정부의 국정지지율과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5일 부동산 경매전문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3월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이 낙찰률 34.5% 낙찰가율 71.7% 평균응찰자수(경쟁률) 4.5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낙찰가율 71.7%은 MB정부가 출범한 2008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지역별 낙찰가율을 살펴 보면 서울 72.3%, 경기 71.4%, 인천 71.5%로 수도권 세 지역이 모두 저조했다.

2008년 1월 이후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매지표와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를 비교해 보면 약간의 시차를 두고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은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추진한 뉴타운 정책의 대표적인 수혜 부동산이었던 만큼 국정지지율이 투자자들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취임 직후 국정지지율이 50% 이상을 기록하던 2008년 3월,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낙찰률은 82.5%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또한 2008년 상반기까지 낙찰가율은 100%를 매월 넘어서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2008년 7월 바닥을 치며 저조한 모습을 보이자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낙찰률과 낙찰가율도 동반 하락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2008년 7월 412건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매진행건수도 3월 들어 1396건으로 2008년 7월 대비 3배 가량 늘어났다. 또 2011년 6월 이후 경매진행건수가 매월 1000건을 넘어서고 있다. 이는 매매시장의 거래부진이 경매 물건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지지옥션 측은 분석했다.

이처럼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이 침체를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신축 연립·다세대 2만호 매입계획을 발표해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지지옥션 남승표 선임연구원은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이 활황을 누렸던 가장 큰 배경은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기대이익으로 볼 수 있다”며 “정부의 대규모 매수가 단기간에는 큰 위력을 발휘하겠지만 장기적인 흐름을 되돌릴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