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계·中企 대출 어려워진다

입력 2012-04-03 15: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 2분기 중소기업과 가계의 대출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한국은행이 3월12~23일 동안 산업은행,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6개 국내은행을 조사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조사)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은행의 대출태도지수는 1분기 7보다 4포인트 떨어진 3을 기록했다. 2009년 4분기 이후 최저치다. 이 지수가 낮을수록 은행이 대출을 꺼린다는 이야기다.

부문별로는 중소기업 대출태도지수는 전분기 13에서 9로 감소했다. 가계주택 대출태도지수는 -6에서 -9로, 가계일반은 0에서 -6으로 각각 떨어졌다. 대기업 대출태도지수가 3에서 6으로 올라간 것과 대조적이다.

반면 대출수요지수는 크게 높아졌다. 2분기 대출수요지수는 23으로 2008년 4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대출수요지수는 0을 기준으로 -100~100까지 분포한다. 지수가 높을수록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다.

특히 중소기업과 가계의 대출수요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대출수요지수는 전분기 22에서 9포인트 오른 31을 기록했다. 이는 고유가 등 영업여건 악화에 대비한 자금수요로 보인다.

아파트 신규분양 증가의 영향으로 가계의 주택자금 대출수요 역시 1분기 3에서 13으로 증가했다. 생계형 자금이 중심인 가계일반 대출 수요지수 역시 0에서 13으로 커졌다.

신용위험지수도 크게 높아졌다. 종합 신용위험지수는 전분기 13에서 25로 약 두 배로 커졌다. 특히 중소기업의 신용위험지수는 28을 기록해 2009년 3분기 31에 이어 가장 높았다. 건설, 부동산 업종의 잠재적 부실위험과 경기전망 불확실성이 반영된 결과다.

가계신용위험지수 역시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데다 소득여건 개선이 지연되며 1분기 9의 3배 가까운 25를 기록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데다 소득여건 개선 지연 등의 영향으로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대내외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신용위험 상승 우려가 커지면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