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제간 소송으로 그룹 경영 차질 빚어선 곤란…선거철 틈타 한국경제 대표기업 몰아붙여서야
삼성가 형제 간 재산분쟁이 당사자 개인간 소송을 넘어 삼성과 CJ의 그룹 간 분쟁으로 확산되고 있다. 결과가 어떻든 한국의 대표기업 삼성은 치명적인 상처를 입을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소송에서 패하기라도 한다면 삼성의 지배구조가 흔들리게 되고, 최악의 경우 그룹이 해체될 위기에 직면할 수도 있다.
재계에서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이 경영 내적인 문제가 아닌 외적인 문제로 위기를 맞고 있다”며 “삼성을 살리기 위해 가족 간 원만한 타협에 의한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사태 확산을 경계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장남 이맹희 씨의 7100억원대의 상속재산 청구소송은 삼성 직원의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미행사건과 CJ그룹의 소송 개입 정황 등이 드러나며 그룹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CJ 측의 부인에도 불구, 이맹희 씨의 소송에 CJ그룹이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이번 소송전은 이맹희-재현 CJ 부자가 이건희 회장과 삼성그룹을 상대로 한 총공세로 해석되고 있다.
이맹희-재현 부자는 장남과 장손 임에도 삼성그룹 경영권의 후계구도에서 배제됐다는 의식이 이번 소송 건의 저변에 깔려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 일가의 경영권 흔들기라는 해석을 낳게 하는 대목이다.
재계 관계자는 “단순하게 상속재산 반환소송으로 바라봤던 이번 사건은 일주일 여 만에 전혀 다른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며 “본질은 경영권 탈환이 아닌가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이번 소송에서 이맹희 씨의 상속재산 청구가 받아들여질 경우 삼성그룹은 지배구조가 크게 흔들릴 수 있는 치명상을 입게 된다. 삼성에버랜드→삼성생명→삼성전자→삼성카드 등 현재 수직적으로 연결된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가운데 고리가 끊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반재벌 정서가 확산되고 있는 최근 정치·사회적 분위기에서 등장하고 있는 재벌해체론은 삼성가의 재산분쟁에 탄력을 받으며 삼성그룹의 경영권을 위협하는 또 다른 악재로 떠오르고 있다. 재벌총수의 비자금, 재벌가의 몰아주기와 골목상권 장악 시도, 형제간 재산싸움 등 재벌의 부정적 측면들이 부각되면서 삼성을 한층 궁지로 몰아넣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삼성가의 이번 분쟁을 확대해석하는 것에 재계는 경계심을 나타낸다. 가족 내의 크고 작은 재산분쟁은 기업인 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도 흔한 일이라며 이를 이유로 재벌이 해체돼야 한다는 주장은 지나치다고 지적했다.
재계 관계자는 “집안싸움이 담을 넘어가면서 지나치게 확대된 측면이 있다”면서 “이를 삼성그룹, 나아가 재벌해체로 이어가려는 시도는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한국경제를 지탱해온 재벌의 명암은 평가되어야 하지만 해체 만이 해결방법은 아니다”면서 “재벌 스스로도 경영 외적 문제보다 내적 역량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며 삼성과 CJ 그룹 간 원만한 해결을 촉구했다.